카페인이 우리 신체에 어떤 작용을 해서 잠을 못 자게 하는 겁니까?
나이가 들면 밤잠도 줄어들고 중간에 잠을 자주 깹니다
그런데 커피까지 마시면 잠을 잘 못 잡니다
커피 속에 있는 카페인 때문에 그렇다는데, 카페인이 우리 신체에 어떤 작용을 해서 잠을 못 자게 하는 겁니까?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카페인은 중추신경계의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여 인체가 각성상태를 유지하도록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커피를 복용시에 잠이 오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생체내 에너지로 사용되는 ATP는 소비되면 아데노신이 분리되게 되는데
이 아데노신이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하면 피곤하고 졸린 상태가 됩니다.
수면과 휴식시 아데노신 농도가 내려가게 되어 아데노신 수용체와 아데노신 결합이 감소하게 되어 피로가 풀리게 되는 것입니다.
카페인은 이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하여 아데노신 농도가 낮은 것처럼 인식하여 각성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커피에는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고 카페인이 뇌의 중추신경을 각성시켜서 두근거리고/집중력을 향상시키며/피로를 회복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카페인의 기전은 복잡해서 정확히 말씀드리긴 어려우나, 카페인이 아데노신 분비를 증가시키고, 아데노신이 수용체에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카페인은 우리 뇌의 피로 중추에 작용하게 되는데, 피로가 쌓이게 되면 체내에 아데노신 성분이 많이 쌓이며 이들이 세포의 특수한 수용체에 결합하게 되면 피로를 느끼게 됩니다. 이때 카페인은 아데노신 대신에 수용체에 결합하여 아데노신이 반응하는 것을 억제하여 마치 피로가 쌓이지 않은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카페인은 뇌에서 아데노신의 작용을 억제하여 각성 효과를 나타냅니다. 아데노신은 억제성 신호를 전달하여 졸음을 유발하는데, 카페인이 이를 억제하여 각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또한 카페인은 중추신경을 활성화시켜 혈압을 높이는 작용이 있으며 스트레스 호르몬인 아드레날린과 코르티코이드 분비를 증가시켜 각성 효과를 나타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카페인은 수면중추를 억제하여 각성상태를 활성화시킵니다.
커피 1잔에는 50~100mg의 카페인이 들어있어서 하루 2잔을 초과하시면 좋지 않아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뇌의 신경세포에 는 아데노신이라는 물질이 결합할 수 있습니다.
이 아데노신이라는 물질이 결합하면 졸음을 느끼는데,
카페인은 아데노신 대신 신경세포에 결합하여 아데노신이 뇌의 신경세포에 결합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체내에 카페인이 있는 동안은 졸음을 느끼기 어려운 상태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데노신이라고 하는 물질이 우리 몸에 있습니다. 아데노신이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면 졸음이 오는데 이 아데노신과 카페인의 구조가 비슷해서 아데노신이 결합하지 못하게 막아서 각성작용을 나타냅니다. 카페인이 내성이 생기는 것도 우리 몸에서는 카페인이 들어갈 수록 아데노신 수용체의 양을 늘리거든요. 그래서 점점 더 많응 양의 카페인이 필요하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