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정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리나라가 코로나 때 2021년 22년 때까지만 해도 국세 수입이 좋았다고 하는데요 2023년과 2024년에는 엄청난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는 이

우리나라가 코로나 때 2021년 22년 때까지만 해도 국세 수입이 좋았다고 하는데요 2023년과 2024년에는 엄청난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명주 경제전문가
    김명주 경제전문가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비대면 경제 활성화와 정부의 각종 지원 정책으로 인해 기업 이익이 증가하고 소비가 활발해지면서 세수가 크게 늘었습니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 경기 침체와 함께 소비 위축, 기업 실적 악화 등으로 인해 세수가 급감하면서 2023년부터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세의 종류에는 소득세, 법인세, 종합부동산세, 증여세, 부가가치세 등이 있어요.

    결국 국민과 기업들이 돈을 잘 벌거나 또는 부동산가격이 많이 올라야 국세가 늘어나요.

    그런데 경기가 안좋은데 고금리였기 때문에

    국민과 기업이 돈을 잘 벌지도 못하고, 부동산 가격도 하락했어요.

    그래서 국세가 많이 걷힐 수가 없었던거예요.

    궁금한 점이 해결되셨을지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정부에서 긴축재정을 표하고 있고

    더불어서 해당 시기 자체가 전세계적으로

    경제가 좋지 않았기에 세수 수입이

    좋지 않았던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2021년과 2022년에는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재정 지출이 증가했지만, 국세 수입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하여 재정수지가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2023년과 2024년에는 국세 수입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는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첫째, 경기 침체로 인해 기업 실적이 악화되면서 법인세 수입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둘째, 자산 시장이 침체되고 있어 양도소득세와 증권거래세 수입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자산 시장이 급격히 성장했지만, 금리 인상과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해 위축되었습니다.

    셋째, 소비 감소가 부가가치세 수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세제 개편으로 인해 소득세와 법인세 인하가 단기적으로 국세 수입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이러한 국세 수입 감소는 정부 재정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경제 활성화와 세수 확보를 위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 우리나라의 세금은 거의 대부분을 대기업이나 부자들이 내고 있습니다 현 정부는 부유한 사람들의 편에선 보수 우파 정당이기 때문에 법인세 인하라던가 상속세 절감 같은 부분들을 방향으로 잡고 있습니다 이분들에게 세금을 인하해 주고 있으니 펑크가 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원인은 부자 감세와 부동산 시장이 침체하면서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세수가 감소한 것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과 2024년 한국의 국세 수입이 급감하는 주된 이유는 경제 성장 둔화와 소비 감소로 인한 세수 감소입니다. 또한,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가계의 재정적 압박이 증가하면서 소비가 위축되고, 이는 세금 수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