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 중에 가치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국가소멸 부르는 지방소멸, 캐나다가 극복한 방법에 대한 뉴스에서
"이민자들도 한국에 오기 전부터 지역의 교육, 의료, 문화 서비스 등 정주 여건을 살펴볼 것”라고 말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선제적으로 가치재(merit goods)를 지역에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다." 내용에
가치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치재라고 하는 것은 개인들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서 일정수준 이상으로 소비되지 않는 재화를 말하며 이러한 재화는 보통 서비스를 전제로 한다고 해요
안녕하세요. 이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치재(merit goods)는 사회적 가치를 갖고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러한 상품이나 서비스는 개인의 소비 판단만으로는 충분히 제공되기 어려운 경우에 중앙정부나 지자체 등 공공기관이 제공하거나 장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치재는 사회의 전반적인 이익을 증진시키고 공공의 복지를 확대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일반적으로 교육, 의료, 문화, 환경 보호 등이 가치재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이러한 분야에서는 개인의 선택이나 시장 메커니즘에 의존하기보다, 정부나 지자체가 보다 공정하고 평등한 접근을 제공하여 사회적인 평등과 발전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뉴스에서 언급된 내용은 이민자들이 한국에 오기 전에 해당 지역의 교육, 의료, 문화 서비스 등의 정주 여건을 사전에 살펴보라는 것을 강조하고,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선제적으로 이러한 가치재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통해 이민자들의 정착과 사회적 통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지역의 발전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치재란 재화소비를 권장할 목적으로 정부가 직접 공급하는 재화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가치재로는 교육, 의료, 주택 공급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것으로 간주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 학교 급식, 의무 교육, 저임대 주택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치재는 소비로 얻어지는 효용 또는 쾌락은 과소평가된 반면 비효용은 과대평가된 재화나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들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서는 일정수준 이상의 바람직한 상태까지 소비되지 않는 재화, 서비스 중에서 이러한 재화가 국민 경제활동에 있어 이로운 외부성을 갖고 있는 것을 가치재라 합니다. 정부는 그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는 정부지출을 하게 되고 판단주체인 정부의 정책결정이 중요시 되는 재화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치재는 교육 의료 주택 등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소비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합니당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치재란 민간 부분에서 생산 공급되고 있으나
이윤을 극대화시키는 논리에 따른 생산량이 최적 수준에 미치지 못하여 정부가 직접 공급에 개입하는 재화를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치재는 경제 용어로서, 사람들이 소비하거나 생산하는 과정에서 가치를 지니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가치재는 소비자들에게 유용하며 수요가 높은 재화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면 식품, 의류, 주택, 자동차 등이 가치재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