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참신한호박벌102
참신한호박벌10223.02.20

저절로 불이 발생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건조한 계절의 날씨가 지속될 때, 전국적으로 산불 감시에 집중하는 현황이 있는데,

인공적인 불 말고 자연적으로도 불이 발생한다고 들었던 것 같습니다.

저절로 불이 발생하는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출입하지 않는 산이라도 바람은 불죠.
    그리고, 바람이 불 때는 약한 바람이 스쳐 가기도 하지만
    강한 바람이 회오리 치면서 오랫동안 머물기도 하겠죠.

    강한 바람이 회오리를 형성할 때(토네이도 같은 규모는 아니구요..지름 20m정도의 회오리) 수분이 없이 말라있는 나뭇가지가 가까이 붙어있는 경우에 두 나뭇가지는 서로 마찰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 때에는 나무 껍질만 벗겨지는 정도로 끝내기도 하지만 바람이 오래 부는 경우에는 마찰이 일어나서 열이 발생합니다.
    이 열이 나무의 발화점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에는 불이 붙게 되는거죠.

    그 외에도 낮은 확률이긴 하지만 새가 불이 남아있는 담배꽁초를 물고 가다 뜨거워서 떨어뜨리는 경우(거의 없죠.), 아니면 사람들이 몰래 들어가서 불을 피운 경우 불이 날 수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불은 없습니다. 보통 인간의 부주의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산불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매우 건조한 날씨, 바람, 번개 등이 결합되어 발생합니다. 특히 건조한 계절에는 지면, 나무, 식물 등이 물이 부족해져 가지치고 탈수되면서 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산불의 자연발화 원리는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대기 중의 산소와 물기가 관여합니다. 산불은 보통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발생합니다.


    타격 스파크: 번개나 인공물 등으로 인해 발생한 스파크가 마르고 건조한 산 지면이나 가지, 잎사귀 등 건조한 자연물에 부딪치면서 불꽃이 일어납니다.


    마른 자연물의 점화: 건조한 자연물(잎사귀, 가지, 나무껍질 등)이 불꽃에 의해 점화되고, 이를 통해 불길이 번져갑니다.


    습기의 증발: 물기가 충분한 지면에서는 스파크나 불꽃이 발생해도 불이 붙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습기가 증발하면서 대기 중에 물기가 증가하면, 불꽃이 번지는 불 확산 과정에서 습기가 다시 물방울 형태로 떨어지면서, 마치 증기가 불을 피워주는 듯한 효과를 발생시켜 불길이 번지는 것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기타 인자: 또한 지진, 산사태 등의 지질적인 현상이나 식물의 열분해, 자연발효 등의 생물학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조합되어 산불이 발생하며, 특히 건조한 계절과 건조한 지역에서는 자연발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따라서, 산림관리 당국들은 산불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예방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저절로 불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건조할때는 대기중에 수증기의 양이 아주 작아지고 정전기가 튈 가능성 높아지는데 아주 약한 발화원만 있더라도 불이 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습한 날씨에는 담배꽁초가 약하게 있으면 꺼지지만, 건조할때는 바로 불이 붙어 버리게 되죠. 그리고 건조할때는 불이 쉽게 번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