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발한메추라기알192
활발한메추라기알19223.01.17

병인양요는 무엇때문에 발생하였나요?

조선 후기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면서 조선에 많은 사건들이 발생하였습니다. 특히 서양세력들이 조선에 많이 들어왔는데 그 중에서 프랑스군이 조선에 쳐들어와 싸운 적이 있는 병인양요는 무엇 때문에 발생하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인양요는 고종3년,, 천주교 신자 8천여명과 프랑스인 신부 9명을 처형한 병인박해에 항의하러 들어온 프랑스와 조선이 싸운 전쟁입니다.

    프랑스 해군 극동함대 사령관 로즈 제독은 병인박해의 생존자 리델 신부가 알린 병인박해 소식에 화를 내고 프랑스 정부와 로즈제독은 조선에 항의하러 가기로 결정합니다.

    1866년 7월 8일 프랑스 공사 벨로네는 청나라 섭정이자 총리아문의 수석 대신인 공친왕에게 조선에 들어가서 마치 그 옛날 명나라의 황제들이 조선에 했던 것 처럼 고종을 폐위시키고 조선의 차기 임금을 나폴레옹 3세의 의지에 따라 세울것이라 통보합니다.

    그러나 이는 벨로네 공사의 일방적 행동이었으며 공친왕은 조선과 프랑스가 전쟁할 것 같으니 중재에 나서 조선을 변호하기로 하고 프랑스에 일의 자초지종을 묻고, 조선에도 자문을 보내 경고했습니다.

    조선은 무시하였으며, 프랑스는 청나라의 중재 시도에 병인박해는 조선만의 책임이 아니라 조선과 청나라의 공동책임이라 비난하며 조선과 청나라의 사신 왕래가 활발한 점, 조선이 이미 선교사 처형 계획을 청나라에 통보한 상태, 청나라가 조선의 입장을 비호하고 있다는 점, 청나라가 조선을 돕기 위한 원병을 만리장성에 대기시켰다는 점을 들어 공동책임이라 비판하였습니다.

    벨로네 공사는 로즈 제독에게 극동 함대를 출발시켜 달라고 요청하고 천주교 만주교구장인 베롤 주교도 조선에 가서 항의하여야 한다고 부치겼습니다.

    조선은 프랑스와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지 않았고, 전적으로 병사인 자신의 소관이라 주도권을 주장합니다.

    프랑스 외무성은 벨로네가 본국의 인가를 받지 않고 일방적으로 조치함을 질책하고 그의 모든 조치를 무효화하고 앞으로 조선 문제에 개입하지 말라고 명하며 조선 출정에서 배제시킵니다.

    9월7일 프랑스 해군성이 나폴레옹 3세의 공식 명령서를 전달하며 병인양요가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