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박해(丙寅迫害)는 조선에서 자행된 천주교 박해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최후의 박해이다. 1866년(고종 3) 병인년에 시작되어 병인박해라고 불리며, 그 여파는 1873년(고종 10) 흥선대원군의 실각까지 장장 8년간 지속되었다. 병인박해의 발생은 대내적으로 누적된 천주교 사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 그리고 천주교에 대한 국가의 공식적인 금지령이 본질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박해를 직접적으로 촉발한 원인은 첫째, 변경에 접근한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 천주교 세력을 이용하려다가 중지된 점, 둘째,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선택으로 천주교를 박해한 점을 들 수 있다. 병인박해는 1866년 봄을 시작으로 이후 3차례에 걸쳐 발생하였다. 1866년 여름 병인양요(丙寅洋擾)에 대한 보복으로 천주교 신자를 대대적으로 처단하였으며, 1868년(고종 5)에는 남연군묘(南延君墓) 도굴사건 이후 천주교 신자를 박해하였다. 마지막으로 1871년(고종 8)에는 신미양요(辛未洋擾)에 대한 반작용으로 박해를 가했다. 이러한 병인박해는 1873년 흥선대원군의 하야와 함께 종결되었다. 이후 1886년 프랑스와 조선이 국교를 맺고, 병인박해 희생자들을 순교자로 인정하며 추숭 조치가 단행되면서 박해는 최종적으로 마무리된다. 해방 이후인 1968년에는 순교자들을 복자로 추숭하였고, 1984년에는 성인으로 추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