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뀐 이유 ..??
응답하라 1988에 보면 선우가 동생에게 한글을 가르쳐 주는 부분이 나오는데
그 때 뉴스에서 뭐라고 하면서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뀌었다고 하면서 한글을 가르쳐 주는 부분이 있는데 왜 바뀐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읍니다]는 1989년 2월 [습니다]로 바뀌었고 바뀐 이유는 발음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입으로 말하면 씀니다로 발음이 되면서 글로 적을 때 헷갈리기 때문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뀐 것은 1988년 어문 규정을 개정하면서부터이며 이 규정이 시행된 것은 1998년 3월이었습니다.
실제 발음시 읍니다는 모두 습니다로 발음되는 현상을 반영해 1980년대 말 국어학회에서 표준말 정리를 하면서 읍니다를 공식적으로 습니다로 발음나는대로 표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뀐 이유는 발음하기 어려운 것도 있고, 입으로 말하면 씀니다로 발음이 되며 글로 적었을 때 헷갈릴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말 어미인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뀐 이유는 발음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입으로 말하면 씀니다로 발음이 되면서 글로 적을 때 헷갈리기 때문이다. 1989년 2월 이미 수정 문법이 적용 되었으나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는 부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