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丹心歌, 고려의 정몽주가 조선의 이방원이 부른 하여가에 대한 답가로서 불렀다는 시조.
노골적으로 '왕조가 바뀐들 무슨 상관이냐. 얌전히 우리 손잡고 부귀영화를 누리며 새 왕조를 세워 잘 나가 보자.'라는 의미인 하여가로 정몽주를 회유하려던 이방원에게 정몽주는 단심가를 통해 '설사 죽더라도 고려를 향한 충심은 바꾸지 않는다'라고 답한 것이다. 이에 이방원은 회유를 포기하고 부하를 시켜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철퇴로 때려죽인다.
이런 배경이 있어서 그런지 용의 눈물부터 여말선초를 다룬 사극에선 거의 필수적인 장면으로 하여가와 거의 한 묶음으로 언급되며 한국인이라면 다른 시조는 몰라도 이 두 시조는 아는 게 대부분.
참고로 일각에서는 이 단심가가 정몽주의 창작이 아니고 고구려로부터 내려오던 한 여인의 사랑을 읊은 시조를 정몽주가 읊었을 뿐이라는 주장도 있는데 확실한 근거는 없다. 내용 자체는 확실히 사랑 노래로도 통할 만한 내용이긴 하다. 신채호 선생은 안장왕이 사모했다는 "한주"라는 여인이 옥중에 갇혀 있을때 부른 노래라는 가설을 내놓기도 했다. 안장왕과 을밀 문서로. 시조에 사용된 '일편단심'이라는 어구가 처음 중국어 문헌에 등장한 시점은 북송 시대이므로, 원래 노래가 옛 고구려 노래였다 하더라도 정몽주가 그대로의 형태를 읊었을 가능성은 낮다.
또한 이 시가 지어진 시점은 약간 논쟁의 여지가 있는데 정몽주가 죽기 직전에 지었다는 설이 가장 널리 퍼져있지만 원주 변씨 가문의 세보에 의하면 실제로는 위화도 회군이 있고 얼마 안되어 지어졌다는 기록이 있다.[1] 하지만 이런 류의 이야기들은 심심하신 교수님들의 농담 정도로 들으면 그만이다.
중세 국어에서 '고텨'나 '고쳐'는 현대 국어의 '다시'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죽고 또 죽더라도 그 뜻을 지키겠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출처: 나무위키 단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