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6

고려말 정몽주가 지은 시조인 단심가는 어떤 역사적인 의의가 담겨 있는지 궁금합니다

고려말 학자이자 고려의 충신이었던 정몽주가 지은 시조인 단심가는 오늘날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유명한데 어떤 역사적 의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丹心歌, 고려의 정몽주가 조선의 이방원이 부른 하여가에 대한 답가로서 불렀다는 시조.
    노골적으로 '왕조가 바뀐들 무슨 상관이냐. 얌전히 우리 손잡고 부귀영화를 누리며 새 왕조를 세워 잘 나가 보자.'라는 의미인 하여가로 정몽주를 회유하려던 이방원에게 정몽주는 단심가를 통해 '설사 죽더라도 고려를 향한 충심은 바꾸지 않는다'라고 답한 것이다. 이에 이방원은 회유를 포기하고 부하를 시켜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철퇴로 때려죽인다.

    이런 배경이 있어서 그런지 용의 눈물부터 여말선초를 다룬 사극에선 거의 필수적인 장면으로 하여가와 거의 한 묶음으로 언급되며 한국인이라면 다른 시조는 몰라도 이 두 시조는 아는 게 대부분.

    참고로 일각에서는 이 단심가가 정몽주의 창작이 아니고 고구려로부터 내려오던 한 여인의 사랑을 읊은 시조를 정몽주가 읊었을 뿐이라는 주장도 있는데 확실한 근거는 없다. 내용 자체는 확실히 사랑 노래로도 통할 만한 내용이긴 하다. 신채호 선생은 안장왕이 사모했다는 "한주"라는 여인이 옥중에 갇혀 있을때 부른 노래라는 가설을 내놓기도 했다. 안장왕과 을밀 문서로. 시조에 사용된 '일편단심'이라는 어구가 처음 중국어 문헌에 등장한 시점은 북송 시대이므로, 원래 노래가 옛 고구려 노래였다 하더라도 정몽주가 그대로의 형태를 읊었을 가능성은 낮다.

    또한 이 시가 지어진 시점은 약간 논쟁의 여지가 있는데 정몽주가 죽기 직전에 지었다는 설이 가장 널리 퍼져있지만 원주 변씨 가문의 세보에 의하면 실제로는 위화도 회군이 있고 얼마 안되어 지어졌다는 기록이 있다.[1] 하지만 이런 류의 이야기들은 심심하신 교수님들의 농담 정도로 들으면 그만이다.

    중세 국어에서 '고텨'나 '고쳐'는 현대 국어의 '다시'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죽고 또 죽더라도 그 뜻을 지키겠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출처: 나무위키 단심가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06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조 개국과정에서 반대파의 주장을 대변한 이 노래는 개국 후 신하의 충성심을 나타내는 노래로 퍼지는데, 조선조가 내세운 유교적 지배질서와 부합하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이 노래는 절박한 상황에서도 묘미있는 표현을 개척함으로 고려 말 새로운 갈래로 등장한 시조가 정착되는데 기여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심가는 고려 말기에 이방원이 정몽주에게 고려는 이미 지는 나라이며 이성계가 새로운 나라를 세우니 정몽주에게 '하여가'를 부르며 이성계를 도와줄 것을 요청한 것에 대한 답가를 부른 것입니다. 국운이 지는 상황에서도 나라를 배신하지 않겠다는 정몽주의 충성심이 엿보이는 작품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