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증하고 기립성 저혈압 다른점이 뭔가요?
이석증하고 기립성 저혈압을 어떻게 구별하나요? 어지럼증이 좀 심해서 병원을 가보려고 하는데 이비인후과에 가서 진료받으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병관 내과 전문의입니다.
기립성저혈압은 말 그대로 체위변경에 의해증상이 유발됩니다.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날때 어지러우면 기립성저혈압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이석증과 기립성 저혈압은 모두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원인과 증상 양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석증은 내이의 이석(작은 칼슘 입자)이 제자리를 벗어나 반고리관으로 들어가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특정 자세 변화, 예를 들어 고개를 돌리거나 몸을 눕힐 때 어지럼증이 발생합니다. 이석증의 어지럼증은 회전감이 강하게 느껴지며,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되다가 사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비인후과에서는 두위를 바꿔가며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Dix-Hallpike 테스트나 Epley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기립성 저혈압은 앉아있거나 누워있다가 일어날 때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어지럼증과 함께 눈앞이 깜깜해지거나 실신할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혈액이 하반신으로 갑자기 몰리면서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주로 혈압을 측정하며, 누워있다가 일어설 때 혈압 변화를 관찰합니다.
이석증은 귀의 반고리관에 균형을 잡는데 기능을 하는 이석이 빠지게 되어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가만히 있을 때에는 어지럼증이 없다가 머리가 돌아가게 되면 갑작스럽게 극심한 회전성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것이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경우에는 머리의 움직임이 아니라 누워있거나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서게 되면 중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혈압이 일시적으로 저하되게 되는데 몸이 순간적으로 그것에 적응하지 못하면 현기증이 나듯이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것이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이석증은 이비인후과, 기립성 저혈압은 심장내과의 영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