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속의 산소가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가 과학을 공부했을 때 이해가 좀 안되는 부분이었는데요
산소는 물에 녹지 않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실제로 물에는 산소가 있잖아요?
수상치환이 아니고서야.. 녹일수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현상에 대해 제가 모르는 과학적 원리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용존산소란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을 말합니다, 하천 상류의 깨끗한 물에는 거의 포화에 가까운 정도의 용존산소가 들어 있습니다.
물속에서 생활하는 어패류나 호기성(好氣性) 미생물이 용존산소를 호흡하고 물속에 있는 유기물은 이것에 의해서 산화 분해되기 때문에, 용존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어패류의 사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유기물 등이 잔류하여 물의 오염을 가져오게 됩니다.
자연수 중에 있어서 용존산소는 그 값이 크면 클수록 좋은 물이라 할 수 있으며, 깨끗한 자연수의 용존산소는 약 8 ㎎/L입니다. 20 ℃의 대기 하에서 순수 용존산소는 9 ㎎/L에서 포화 상태에 이르는데, 이 값은 온도가 오르면 감소하고 대기압이 오르면 증가합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가 물에 녹지 않는다는건 잘못알고계신 겁니다. 산소도 물에 녹습니다. 여러 기체도 고체처럼 물에 녹습니다. 눈에 안보이기 때문에 어색한것일 뿐이죠. 물고기와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이 물속의 산소로 호흡을 합니다. 집에서 키우는 물고기의 어항에 뽀글뽀글한 산소 공급 장치가 있는 이유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산소는 물에 녹지 않는다는 것은 잘못된 사실입니다.
물은 액체이고 액체에는 다양한 기체가 녹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용해도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 물에 녹습니다
바람에 의해 파도가 칠때 산소가 녹아들기도 하고
수면에서 공기와 접촉하여 산소가 녹아들어 용존산소가 되며
용존산소가 없으면 물이 썩고 생물이 죽게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가 물에 녹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기체는 물에 녹아들 수 있고, 녹는 정도를 수치화한 용해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산소의 용해도는 온도에 영향을 크게 받으며 0도에서 14.6 mgL−1이 녹고 20 °C에서는 7.6 mg·L−1만큼 녹습니다.
수족관에서 공기가 올라오는 것을 보셨을텐데요, 거기에 포함된 기체는 수족관의 물 밖으로 나오며 용해도만큼 용해가 되고 남은 기체가 올라오는 것이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석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용존산소란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을 말합니다, 하천 상류의 깨끗한 물에는 거의 포화에 가까운 정도의 용존산소가 들어 있으나 가정에서 버린 물, 공장에서 버린 물, 기타 썩을 수 있는 물질로 오염되어 그 양이 점점 적어지고, 결국 용존산소가 없으면 썩게 됩니다.
물속에서 생활하는 어패류나 호기성(好氣性) 미생물이 용존산소를 호흡하고 물속에 있는 유기물은 이것에 의해서 산화 분해되기 때문에, 용존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어패류의 사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유기물 등이 잔류하여 물의 오염을 가져오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