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도롱이
도롱이

일반적으로 젊을수록 투자 중심으로 가는 게 맞나요?

보통 나이가 들수록 노후 준비를 위해 저축을 중심으리 하고 젊을수록 투자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하는데, 맞을까요? 만약 그렇다면 20~30대 시기에서는 원금의 몇%까지 손실을 감수하는 투자 선택이 합리적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없으나 리스크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그리고 더불어서 젊다면 장기적인 투자가 가능하기에 이에 따라서

      공격적으로 투자를 하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이는 개인마다 큰 차이가 있지만, 젊을수록 공격적인 성향의 투자를 하여 자산을 불리라는 것도

        개인차가 있는 것입니다.

      • 그 이유는 노년기에 투자로 돈을 잃으면 다시 자본금을 만들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투자가 가능한것은 젊을때 입니다 망하더라도 다시 일어설 힘이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간과하기 어렵습니다 자살이나 극단적선택을 할수 있는 나이대입니다 보통 말하는게 50프로죠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나이가 젊을수록 향후 자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많다 보니 더 공격적으로 투자를 하고 나이가 들수록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다 보니 안정적으로 투자를 하라고 하는 말이 생긴 것이라고 보여져요. 다만 20~30대라고 하더라도 자금 창출 능력이나 미래 현금능력이 불안정한 경우에는 원금 손실리스크를 지는게 합리적이라고 볼수는 없기 때문에 원금 리스크는 상황별로 다를수 밖에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