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대견한오솔개199
대견한오솔개19923.02.25

술먹고 필름이 자주 끊기고 나중에 기억회복도 못하면 나이들어 치매가능성이 높을까요?

술마시고 만취로 기억을 완전히 잃어버리는 횟수가 많다면

일단은 알콜성 치매인데

이후에 잘관리하지 않으면 진짜로 치매가 올 확률이 높을까요?

치매로 이어지는 빈도와 가능성을 다룬 연구나 사례는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콜성 치매는 오랜 기간 동안 과도한 음주로 인해 뇌가 손상을 입어 발생하는 치매입니다. 이는 뇌 내의 신경세포가 손상되면서 기억력, 학습능력, 인지능력 등이 저하되는 증상을 보입니다. 따라서 알콜성 치매는 중독성 약물이 뇌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치매를 일으킬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알콜성 치매는 일반적인 치매와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미래에 일반적인 치매를 유발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인 치매의 원인은 노화, 유전적 요인, 뇌손상 등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따라서 알콜성 치매와 같은 중독성 약물에 의한 치매를 예방하고자 하면, 과도한 음주를 자제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음주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는 몇몇 지역에서는 알콜성 치매가 일반적인 치매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서는 알코올 음료의 과다한 섭취를 예방하고, 음주 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6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술을 마시고 필름이 자주 끊기거나 기억력이 상실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일시적인 것입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과도한 음주를 하게 되면 뇌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매 등의 신경질환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음주가 뇌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복잡하며, 많은 요인이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음주량, 음주 빈도, 성별, 나이, 유전적 요소, 건강 상태 등이 모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과도한 음주가 치매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기억을 잃는거부터 뇌의 뉴런에 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치매가 올 확률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