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페퍼민트
페퍼민트22.08.15

식물에서 뿌리로부터 잎쪽으로 물이 이동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인간같은 경우에는 정맥의 힘이 약해서 주변의 골격근이 수축해주는 힘으로 심장까지 혈액을 운반할 수 있는데, 식물은 그런 도움 없이 어떻게 뿌리부터 잎까지 물이 운반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모세관현상을 이용합니다.

    물은 친수성 물질에 붙는 부착력이발생하는데 좁은관에 들어가면 이 부착력때문에 벽을타고 올라갑니다.


    그래서 모세+관 현상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뿌리에서 흡수한 물은 뿌리의 물관에 도달해 줄기와 잎으로 연결된 물관을 통해 잎으로 이동합니다.

    뿌리가 물을 빨아올려서, 줄기로 밀어 올리는 힘을 근압이라고 합니다

    근압이란 뿌리의 압력을 말하며, 이 근압으로 뿌리부터 잎까지 물을 운반할 수 있습니다.

    근압은 모세관 현상의 일종입니다.

    모세관 현상이란 얇은 관에 액체를 넣었을 깨 가는 관을 따라 액체가 위로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뿌리에서 줄기로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이동합니다.

    식물의 뿌리에서 잎 끝까지 연결된 물관을 통해 수분 상승이 일어납니다.

    참고로 흙속의 물이 뿌리로 들어올 수 있는 건 삼투 현상 때문입니다.


  • 물은 물관속의 섬 유소분자에 부착합니다.

    이것이 식물전체로 물을 이동하게 하는 힘이 되는데,

    응집력, 부착, 그리고 표면장력이 작용하여 모세관현상이 발생합니다.

    이것이 물이 이동하게 하는 주요 원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