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네 꿈을 펼쳐라
네 꿈을 펼쳐라23.02.25

우리나라는 금리를 동결했네요. 나라 경기가 좋은 것은 아닌데 그래도 되나요?

통상적으로 고물가시대가 지속되고 있다면 금리를 올리는 것 아닌가요?

인플레이션을 잡아야 하니까요.

미국은 힘든 고물가시대에 계속 금리를 올리고 최근에야 물가가 조금씩 안정화되니까

동결하던데..

우리나라 경기는 더 나쁜 상황인 것으로 보이는데 금리를 동결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금리를 인상하면 다시

    대출금리 등이 올라가며 기업들의 자본조달이

    어려워지고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

    그런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에 비해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하고, 현재, 경제성장률 하락이 예상되고 있어 정부와 한국은행은 금리를 우선 동결하고 향후 미국의 스탠스에 따라 추가적인 금리인상 진행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상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줄이고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중앙은행은 금리를 결정할 때 경제 성장, 고용, 금융 안정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한국의 경우 한국은행이 경제성장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금리 동결을 결정했을 가능성이 있다. 급격한 금리 인상은 소비 지출 감소로 이어져 기업에 타격을 주고 경제 활동을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은 높은 수준의 가계 부채와 일본 및 중국과 같은 국가와의 지속적인 무역 긴장을 포함하여 다양한 경제적 도전에 대처해 왔습니다. 이런 요인들이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유예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그렇긴 해도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이 계속 우려되거나 경제 여건이 개선된다면 앞으로도 금리 인상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금리를 높이거나 낮추는 결정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정책 입안자는 변경을 하기 전에 잠재적인 이점과 위험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동결이 아닌 인하를 하고 싶었지만,, 미국이 금리 인상 기조를 보이고 있고 이 상황에서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바로 환율 급등 열차 타게 되어 사실상 수입물가가 오르기 때문에 한국은행의 목표인 '물가 안정'을 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나마 동결을 한 것입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동결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우리나라의 현재 개인부채의 연체율 증가와 PF대출연체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서 우리나라와 미국간의 기준금리 격차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 예상되면서 2월 23일을 기점으로 환율이 10원이상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어제밤 미국의 달러인덱스 상승을 보면 월요일에 환율이 큰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로 인해서 다시 달러환율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한은 입장에서는 최대한 3월의 미국의 시장 동향과 금리 동향을 살피고 난 후에 4월 13일에 있을 금통위에서 '사후대응'을 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즉, 먼저 매를 맞기 보다는 나중에 지켜보고 매를 맞더라도 맞겠다라는 상황으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경기침체화를 막기 위한 결정입니다.미 연준금리가 오르면 더는 버티지 못하고 금리상승을 힐수밖에 없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시장의 경기 둔화를 우려해서 우리나라는 금리를 동결 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금리를 올리게 되면 가계 경제에 부담이 가기 때문에 높은 물가를 알면서도 이번에는 동결을 하였습니다.

    • 기준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가계부채의 이자도 가중되고 소비심리도 위축되어 소상공인 경제에 어려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국내 경제상황을 고려한 판단을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해 주신대로... 경기가 더 안좋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금리는 정지를 한 것 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 상승은 경기 위축을 하게 되기 때문에 미국 외에 타국에서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린다는 것은 사실 인기 없는 정책이긴 합니다. 물론 결국은 미국 금리를 쫓아가야 하긴 합니다만 경제 체력이 미국만큼 되지 못하기 때문에 동일하게 쫓아갈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