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점검 중 유도등 점검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소방점검 중 유도등 점검방법에 대해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유도등 전원 중에 2선식으로
되어 있는것이 있고 3선식이 되어 있는것이 있습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유도등 점검 시 2선식과 3선식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선식 유도등은 전원선과 신호선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점검 시 유도등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들어오는지 확인하고, 점등 여부를 점검합니다. 3선식 유도등은 전원선, 신호선, 그리고 별도의 접지선이 있어 점검 시 전원과 신호선의 연결 상태와 접지 상태까지 점검해야 합니다. 각 유도등의 전원 및 신호선 연결 상태를 점검하고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구승규 전기기능사입니다.
2선식 유도등은 상시점등으로 상시 켜져있는 유도등에 점검버튼으로 배터리 불량유무를 확인하시면 되고
3선식은 수신기에서 점등스위치를 켜보고 점등이 되는지 확인후 불량 유도등만 교체하시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
유도등 점검 2선식과 3선식 차이에 대해서 이해하는것이 중요합니다.
2선식 유도등은 핫선 + 중성선으로 여결하여 주 전원이 공급될때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정전시나 주 전원이 단선이 되었을때에는 내부 배터리로 전환되어 점등이 됩니다. 제어선과 공통선을 같이 묶어서 배선하기 때문에 원격제어는 어렵습니다. 2선식은 전원 차단 버튼을 통해 배터리 동작여부 확인하고 배터리 상태및 충전여부 점검이 필요합니다.
3선식은 핫선 중성선 제어선으로 연결하며 평상시에는 소등되어 있다가 수동동작및 화재시 수신기에서 신호를 보내면 점등이 되는 방식입니다.
점검방법으로는 전원 차단후 배터리 동작 확인 수신기에서 수동동작으로 점등 테스트 등이 있습니다.
점검시 유도등이 어떤방식으로 설치 되어있는지 확인후 해당 방식에 따라 테스트를하고 점검을 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일단 유도등은 외관을 살펴 보셔서 정상적으로 잘 설치가 되어 있는지, 파손이나 오염은 없는지 체크를 하시기 바랍니다. 그 이후에 2선식은 항상 켜져 있어야 하므로 불이 계속 켜져 있는지, 3선식의 경우 점검 스위치를 눌렀을 때 정상적으로 켜지는지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전원을 차단 했을 때 예비 전원으로 유도등이 점등 되는지 확인을 해주시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유도등 점검 시 2선식과 3선식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선식은 주로 유지보수 용도이며, 전원과 배터리 간의 전환을 테스트합니다. 전원이 차단되면 배터리로 자동 전환되는지 확인합니다. 3선식의 경우, 독립적인 스위치를 통해 전원 차단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유도등의 상태와 램프 밝기, 표시등을 점검합니다. 주기적으로 해당 방법을 통해 안전을 유지하세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