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결합증권은 어떠한 것이 있나요?
홍콩els의 여파로 10년 만에 파생결합증권 잔액이 최저라고 하더군요. 파생결합증권하면 els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 이 외에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파생결합증권에 대한 내용입니다.
파생결합증권은 결국 파생상품과 증권이 결합된 상품으로
ELS, DLS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파생결합증권은 기초자산가격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게 됩니다. ELS 뿐만아니라, 금리, 환율 다양한 상품에 연계된 DLS, 은행에서 판매하는 ELB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결합증권인 ELS이외에 DLS라는 파생결합증권이 있으며 해당 상품은 주식이나 주가지수가 아니라 금리나 환율 다른 자산들을 기초자산으로 수익을 결정되도록 구조화한 증권상품입니다.
ELB라는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로서 마지막 Bond라는 말로서 채권상품이며 이는 원금보장상품입니다. 해당 구조는 주식이나 주가지수의 조건에 따라서 추가적인 수익을 보장하며 조건을 만족을 못해도 원금은 보장되는 상품입니다.
ELW라는 주식워런트증권이 있으며 주식이나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며 해당 기간 즉 만기가있고 만기내에서 콜읍 살수있는 권리 풋은 팔수있는 권리가 있는 옵션형 증권상품이며 한국거래소에서 상장되어있는 일종의 옵션과 비슷한 성격의 상품입니다.
마지막으로 ETF와 구조가 비슷한 ETN이라는 상장지수증권이 있고 이는 자산운용사가 아닌 증권사가 발행하는 구조이며 이는 ETF처럼 기초자산을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상품이며 ETF와 달리 기초자산을 매입하지 않아도 되며 그냥 수익률을 추종만 하고 운용하는 증권사가 수익률만 추종하고 수익만 주게되는 형태의 파생계약증권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ELS는 파생결합증권의 대표적인 형태입니다. 하지만 ELS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파생결합증권이 존재합니다.
DLS는 주식이나 주가지수 외의 기초자산, 즉 금리, 환율, 원자재, 신용 등의 변동과 연계되어 수익이 결정되는 상품입니다. ELW 는 특정 주식이나 주가지수를 미리 정해진 가격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나타내는 증권입니다. 소액으로 높은 레버리지 효과를 누릴 수 있지만, 가격 변동성이 크고 만기가 짧아 위험성이 높은 상품입니다. ETN은 특정 지수의 수익률과 연동되도록 설계된 파생결합증권으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습니다. 기초자산이 다양하며, 레버리지형, 인버스형 등 다양한 구조로 발행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파생결합증권에는 대표적으로 역변동금리채, 환율연계채권(FX linked Note), 신용연계채권(CLN)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