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24.01.27

물가상승률은 어떻게 정해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요즘 물가가 엄청 솟아 오르고 있는데요~ 그런데 정부 발표에 의하면 제가 체감하는 물가랑 다른거 같더라구요~ 그럼 물가 상승률은 어떻게 정해지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정부가 발표하는 물가는 특정 물건들을 정해놓고 매달 매년 마다 직전 물건의 가격과 비교하며 발표를 합니다.

    • 여기서 문제는 특정 물건을 정해놓다보니 소비자가 자주 소비하는 물건에 따라 체감하는 물가가 다를 수 있습니다.

    • 또한 물가 상승률은 소비자가 체감하는 것은 약간 후행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현재 물가상승률이 잡혔다고 하지만

      소비자가 느끼는 물가 상승률은 이제야 느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지수는 이러한 물가의 움직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지수화한 지표로서 기준이 되는 때를 100으로 놓고 비교시점의 물가수준이 얼마나 되는가를 상대적인 크기로 표시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통계청은 현재 전국 37개 도시에서 481개의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소비자구입가격을 조사하여 기준시점인 2010년의 소비자물가수준을 100으로 한 지수 형태로 작성 · 공표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같은 지표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물가 상승의 정도를 나타내는 경제 용어입니다. 이 지표는 특정 시간 동안 장바구니에 포함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여 전반적인 물가 수준의 상승률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근원물가상승률은 보통 연간 기준으로 계산되며, 이전 기간과 비교하여 현재의 물가 수준이 어느 정도 상승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2%의 근원물가상승률은 해당 기간 동안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2%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근원물가상승률은 경제 활동 및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표로 간주됩니다.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로 인해 근원물가상승률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할 수 있으며,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 및 중앙 은행 등 경제 관련 단체들은 근원물가상승률 변동에 주목하고 이를 조절하기 위한 정책 결정에 활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률은 소비자물가지수(CPI)를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일정 기간 동안 소비자가 주로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지수화한 것입니다.

    물가 상승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가 상승률 = (최근 소비자물가지수 - 기준 소비자물가지수) / 기준 소비자물가지수 * 100

    예를 들어, 기준 소비자물가지수가 100이고, 최근 소비자물가지수가 110이라면, 물가 상승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물가 상승률 = (110 - 100) / 100 * 100 = 10%

    따라서, 물가 상승률은 소비자물가지수의 변화율을 의미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하면 물가 상승률도 상승하고, 소비자물가지수가 하락하면 물가 상승률도 하락합니다.

    정부 발표의 물가 상승률과 체감 물가의 차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조사 품목의 차이

    정부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일정한 품목과 가중치를 선정하여 조사합니다. 그러나 소비자의 개인별 소비 패턴은 다르기 때문에, 정부가 선정한 품목과 가중치가 소비자의 체감 물가를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조사 시점의 차이

    정부는 매월 말 기준으로 소비자물가지수를 조사합니다. 따라서, 소비자가 물가 상승을 체감하는 시점과 정부가 물가 상승률을 발표하는 시점 사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요인

    정부의 물가 통계는 경제적, 정치적 상황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의 물가 통계가 소비자의 체감 물가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물가 통계를 참고하면서, 자신의 소비 패턴을 고려하여 체감 물가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률이라고 하는 것은 각 소비자물품에 대해서 가중치를 두고 이 가중치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결정하게 되요. 이 예시는 다음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률은 일반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CPI)를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CPI는 일정한 기간 동안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여 물가 상승률을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상승률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집계됩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 = {(당해년도 연간소비자물가지수 / 직전 연간 소비자물가지수) -1} * 100

    즉, 소비자물가상승률은 늘 전년대비 변화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