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삼성전자 지배구조 개편, 이재용 회장 영향력 더커지는건가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 분할을 삼성에 피스홀딩스를 신설했다는데요. 이걸 두고 삼성물산에서 삼성전자 지분구조를 바꿔 이재용회장의 영향력을 강하게하는 포석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피츠홀딩스 설립은 지배구조 정비 목적, 상속 후 지배력 유지 포석으로 해석됩니다.

    이재용 회장이 보유 지분을 간접적으로 통제 가능해 영향력 강화 효과가 있습니다.

    구체적 지분 조정과 병합 등 후속 조치가 중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삼성전자 지배구조 개편으로 이재용 회장의 영향력이 더 커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렇게 지배구조가 개편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재벌가에게 더 큰 영향력을

    모아주기 위함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인적분할을 택한 이유는 삼성물산과 삼성전자가 대주주이기 때문에 주주의 이익이 최대한 반영되는 방식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고, 삼성바이오로직스(CDMO)와 삼성바이오에피스홀딩스로 나누고 삼성바이오에 피스홀딩스 아래에 신약개발회사를 신설자회사로 놓는 방식이 되는데요. 인적분할을 하여 기존 지분을 그대로해서 지배 구조를 유지한 후 삼성물산이 삼성바이오로직스 지분을 일부 매각하여 삼성바이오에피스쪽으로 현물출자를 하고 일부는 삼성전자 지분매입을 한다면 삼성전자와 삼성바이오 신약개발 쪽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삼성물산이 삼성전자 지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가치가 최대한 높아야 하고 삼성전자의 가치가 최대한 낮아야하기 때문에, 삼성전자는 자사주 매입소각을 통해 지속적으로 주식수를 줄이며 지배주주의 지분율을 상대적으로 높이는 것이었죠.

    이렇게 되면 이재용회장의 삼성물산을 통한 삼성전자 지배는 강화되고 삼성바이오쪽 지배력은 유지되며 금산분리 등의 삼성생명법에서 회피할 수 있는 방안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계열사가 늘어남에 따라서

    삼성전자의 이재용 회장의 삼성내 그룹 계열사들에 대한

    지배력도 강화될 수 있으나 어떻게 될 지는

    추후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피스홀딩스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등 삼성의 주요 계열사의 지분을 관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이재용 회장 중심의 그룹 지배력 강화 포석으로 분석이 되며 장기적 안정화를 위한 전략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적분할은 겉으로는 바이오 사업 전문화를 위한 전략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그룹 지배구조 재편 흐름이 묻어 있는 것 같습니다. 삼성에피스홀딩스가 따로 생기면서 향후 삼성물산과 삼성전자 사이 연결고리를 재정비할 가능성이 커졌고 결국 이재용 회장의 지배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 배경입니다. 지금 당장은 직접적인 지분 이동이 없더라도 중장기적으로 보면 이 신설 법인이 지주회사 전환 퍼즐의 한 조각처럼 작용할 수도 있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