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비오는날 우산
비오는날 우산23.10.10

앞으로의 인도 시장을 어떻게 보시나요?

글로벌 경제 위축에 불구 인도는 세계 최고의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리스크로 인해 인도로 제조사업이 이동 하고 있는데, 앞으로 인도의 경제 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도 알 수없지만

    인도가 중국을 대체할 유망한 국가라고 볼 수도 있는 등

    이에 따라서 많은 공장과기업 등이 인도로 이동하고 있는 등

    유망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도는 현재 무서운 경제상장세를 보여주는 나라로 부동의 세계 1위 인구였던 중국을 넘고 인구수 세계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그 사이 인도내의 제조업 산업이 발전하면서 지속적인 국가경쟁력을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현재처럼 중국이 주춤하는 사이에 인도는 한발자국씩 따라가고 있는 것입니다. 향후에는 중국경제를 추월할 시기가 올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도인이 서방 세계에서 거물급 인사로 거듭날 수 있었던 배경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유창한 영어 구사 능력과 높은 학력 수준이다. 인도는 과거 카스트라는 계급 체계가 있었던 만큼, 교육을 통해 신분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류층으로 올라가려는 열망이 매우 큰 나라다.

    인도의 부모들은 자녀 교육을 헌신적으로 지원하며, 자녀들을 영미권의 명문 대학으로 유학 보내는 경우도 많다작년 9월 3일 블룸버그통신은 국제통화기금(IMF)의 GDP 수치와 1분기 성장률, 환율을 토대로 자체 산정한 결과 올해 1분기 인도의 GDP는 명목 기준으로 8,547억 달러를 기록, 영국(8,160억 달러)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더불어 작년 10월 25일에는 영국 최연소 총리로 인도계인 리시 수낵Rishi Sunak이 취임했다.

    89년(1858~1947) 동안 식민 통치를 했던 영국에게 정치⋅경제 양면에서 ‘인도의 저력’을 제대로 보여 준 셈이다.

    .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도의 경우에는 인구가 중국을 넘어설 정도로 잠재적인 내수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뛰어난 노동력이 풍부하기 때문에 향후 중국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은 국가라고 보여지고 있어요. 게다가 미국과 중국의 대립으로 인해서 세계의 제조공장이 필요한 시기에 인도와 같이 인구가 넘치고 저가의 노동력을 수급할 수 있는 시장은 많지 않기 때문에 인도의 경제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보여져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인도는 과거 중국이 취했던 포지션과 비슷합니다.

    인도는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하는 값싼 인건비와 더불어, 세계 경제 규모 3위에 달할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실제로, 인도 센섹스 지수를 살펴보면, 코로나 19 이후 급격히 반등해서 꾸준히 우상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