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23.02.23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는 무엇이고 어떤 절차를 거쳐 제외되었나요?

예전 교과서에서는 명왕성이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이라고 배워습니다. 그런데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되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이고 어떤 절차를 거쳐야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2006년 8월, 국제천문학연맹(IAU)에서는 명왕성을 포함한 천체의 정의를 새롭게 제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명왕성은 행성에서 제외되고, '왜행성' 또는 '왜행성 후보'로 분류되었습니다.

    IAU는 새로운 천체의 정의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했습니다. 첫째, 천체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둘째, 충분한 질량과 충분한 중력을 가지고 있어서 형태가 구형에 가까워야 하며, 셋째, 궤도 주변을 정리된 형태로 돌아다녀야 합니다. 이에 따라 명왕성은 세 번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해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았습니다.

    명왕성은 작은 크기 때문에 충분한 중력을 발생시키지 못해 형태가 구형에 가까워지지 않아서 세 번째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명왕성의 궤도는 수많은 작은 천체들이 돌아다니는 쿠퍼 벨트라는 물체의 영향을 받아서 정리되지 않은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명왕성은 행성의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해 행성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이후, 명왕성을 포함한 왜행성은 "행성 후보" 또는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그리고 2018년에는 '왜행성'을 대체하는 새로운 용어로 '희소성 천체'라는 용어가 제안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2066년 국제적으로 제외되었으며 가장 큰 이유는 행성의 크기와 궤도 문제였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명왕성은 존재하는 왜소행성입니다. 명칭이 바뀐것 뿐이지 존재 자체에 대한 의미 변화는 전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이전에는 명왕성(Pluto)이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그러나 2006년에 국제천문연합(IAU)이라는 천문학 기구에서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들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명왕성의 지위가 바뀌게 되었습니다.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이유는 "클리어링(Clearing)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이 조건은 행성이 형성되었을 때 그 주변의 지역에서 자신과 같은 크기나 더 작은 천체들을 충분히 제거하여 자신의 궤도를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명왕성은 지름이 약 2,377km로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 중 하나이며, 넓은 궤도를 도는 동안 궤도 주변에 있는 다른 작은 천체들과 충돌하지 않고 그 궤도를 정리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클리어링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명왕성은 행성에서 제외되어 "왜행성(dwarf planet)"로 분류되게 되었습니다.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기로 결정된 과정은 2006년 8월 24일부터 31일까지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IAU 총회에서 이루어졌습니다. IAU에서는 새로운 천체 분류법을 도입하고, 이를 바탕으로 태양계의 천체들을 새롭게 분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분류법에 따라 명왕성은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3

    명왕성은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학연맹(IAU) 총회에서 행성의 정의가 수정되면서 행성에서 제외되었습니다.

    IAU는 이전까지는 행성을 "주위를 돌면서 충분한 자력으로 자신의 모양을 유지하는 천체"로 정의해 왔으나, 이번에 새롭게 제정된 정의에서는 추가적으로 "주위를 돌면서 자신의 궤도 주위에 다른 천체를 제거하지 못하는 천체"여야만 행성으로 인정된다는 조건이 추가되었습니다.

    명왕성은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행성 후보 천체"로 분류되었으며, 이후 궤도 주위에 다른 천체를 제거하지 못하는 천체의 분류로 '왜행성' (Dwarf Planet)로 새롭게 명칭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결정은 IAU에서 주관하는 천체 명칭 정의와 관련된 논의와 협의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이후 명왕성과 비슷한 천체들의 분류에 대한 논란이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발견 직후 9번째 태양계 행성 지위를 차지했지만 행성의 자리는 채 100년도 유지되지 않았습니다. 10년 전. 세계천문학회가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하고 왜행성(일반 행성보다 왜소한 행성)으로 분류한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퇴출 이유는 명왕성이 작고 왜소하며 위성 성립이 가능한 중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었습니다.


    태양계 안에 명왕성 정도 크기의 행성이 여럿 존재한다는 사실 역시 퇴출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2003년, 마이클 브라운 교수에 의해 천체 '에리스'가 발견되면서 명왕성 퇴출 논의가 불이 붙었습니다. 에리스는 기존 행성의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명왕성보다 크기가 컸고, 따라서 행성 개수를 늘려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로 번진 것입니다.


    결국 천문 과학자 423명은 찬반 투표를 통해 '명왕성'을 퇴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이 행성에서 제외된 이유는 2006년 8월 24일 국제천문학연맹(IAU)에서 채택된 신천체 정의에서, 명왕성을 '왜곡된 해부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왜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했기 때문입니다.

    IAU는 행성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신천체로 정의했습니다.

    1. 주변 공간을 정돈시키는 중력을 가진 물체

    2. 별 중심을 따라 자신 주위를 공전하는 물체

    3. 자신이 생성된 재료로 이루어진 물체

    명왕성은 첫 번째 조건과 두 번째 조건을 만족하지만, 세 번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IAU에서는 명왕성을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분류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우주 탐사 및 연구를 위한 행성의 정의와 분류가 변경되었고, 이전에 행성으로 인정된 신천체들 중에서도 명왕성 이외의 몇몇 천체들이 왜행성으로 재분류되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보다 큰 천체인 UB313 즉 에리스를 발견하면서 명왕성의 태양계 행성 자격 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국제천문연맹은 태양계 행성의 자격을 '태양의 주위를 돌아야 하고, 충분한 질량을 가져 자체 중력으로 타원이 아닌 구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천체이어야 한다.'고 새로 규정했습니다. 이 기준에 따라 2006년 8월 24일, 명왕성은 태양 주위를 돌고 구형인 천체지만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천체여서 결국 태양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명왕성의 공전 궤도가 크게 찌그러져 있어 해왕성의 공전 궤도를 침범하고, 해왕성은 명왕성을 무시할만한 크기와 질량을 갖추고 있지만, 명왕성은 해왕성을 무시할 수가 없기에 명왕성은 행성의 기준을 만족시킬 수가 없었던 것이죠.

    그리고행성으로 제외 결정은 국제천문연맹(IAU)의 총회 표결을 거쳐 다수결로 결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