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지수펀드인 ETF의 수수료 인하경쟁이 치열하다는 뉴스가이 있는데요. 이 ETF수수료인하경쟁이 무조건 좋은것이 아니라는데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상장지수펀드인 ETF의 수수료 인하경쟁이 치열하다는 뉴스가이 있는데요. 이 ETF수수료인하경쟁이 무조건 좋은것이 아니라는데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ETF 시장에서 수수료 인하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수수료가 낮아지는 것이 분명히 좋은 일이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경쟁이 반드시 긍정적인 결과만 가져오는 것은 아니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과도한 수수료 인하는 운용사의 수익성을 악화시켜 새로운 상품 개발이나 투자 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재원을 부족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ETF 시장의 혁신과 다양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형 운용사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낮은 수수료를 유지할 수 있지만, 중소 운용사는 그렇지 못합니다. 수수료 인하 경쟁이 심화될수록 중소 운용사는 시장에서 도태될 위험이 커지고, 이는 시장의 독과점 심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수수료 경쟁에만 집중하다 보면, 운용사들이 장기적인 투자 전략이나 서비스 질 개선에는 소홀해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수수료가 낮아지면 운용사의 수익성이 줄어듭니다. ETF를 운용하고 관리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은 운용사의 운용성과보다는 수수료에 집중할수 있으며 이는 투자에 대한 역량이 감소해 성과가 감소할 수 있죠.
또한 운용사의 수수료 경쟁으로 인해 ETF의 구성 종목을 우량주가 아닌 좋지 못한 종목을 끼워팔거나 해서 운용 비용을 절감할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의 수익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자에게 비용 절감의 이점이 있지만, 무조건 긍정적인 것은 아닙니다
과도한 수수료 인하는 자산운용사의 수익성을 악화시켜, 중소 운용사의 시장 진입을 어렵게 하고, 시장의 독과점 구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투자자 선택의 폭을 좁히고, 수수료 인상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지금 당장은 좋지만 결국에 한 증권사로 귀결이 된다면 하나의 자산운용사가
독점을 하게 됩니다
독점을 하게 되면 나중에 일방적으로 수수료를 올려서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산운용사들도 적당한 수익이 있어야 유지가 된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과도한 출혈경쟁으로 결국 운용사들의 경영 건전성을 해칠 것이란 의견도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 일본의 월 지급식 펀드 시장에서 과도한 분배금 경쟁이 생겨나 원금을 훼손하는 데까지 이르렀고, 당시 일본 커버드콜 펀드 시장이 크게 줄었는데 그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수수료 인하 경쟁은 투자자에게 비용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운용사의 수익성 악화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 유동성 관리 문제, 소규모 ETF의 폐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합니다.
특히 지나친 수수료 경쟁이 운용사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해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