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테슬라는 적정가치의 주가를 받고 있는게 맞나요?

테슬라는 적정가치의 주가를 받고 있는게 맞나요?

현재 테슬라 주가는 고평가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인거가요?

적정가치를 가지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테슬라의 PER, PBR, EPS 등의 지표만 봤을땐 고평가를 넘어 과대평가를 받고있다고 볼 수 있지만, 테슬라 기업은 단순히 과거 실적만 가지고 평가하기 매우 힘든 기업이라서 사실 미래 성장성을 따져봐야합니다. 물론 그럼에도 개인적으로는 고평가라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테슬라는 적정 가치의 주가를 받는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전문가들의 전망에 따르면 테슬라는 아직 매수 우세를 보이는 것으로 보면

    아직은 저평가로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테슬라 주가에 대한 적정 가치 평가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크게 엇갈리는 논쟁적인 주제입니다.

    현재 테슬라 주가는 대부분의 전통적 밸류에이션 지표를 기준으로 볼 때 높게 평가된 상태이며, 많은 분석가들은 적정 가치(목표주가 평균 $300~400대)를 현재 주가보다 낮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테슬라를 단순한 자동차 회사가 아닌 자율주행, AI, 에너지 분야의 혁신 기업으로 보고, 미래의 폭발적 성장 잠재력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평가와 높은 기대 가치 반영이 공존하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테슬라는 PER이 여전히 높지만, AI, 로보택시 등 미래가치가 주가에 선반영되어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전통산업대비 고평가, 성장주 평균 대비 적정수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과거 테슬라가 200달러 부근에 있을 때 가장 심하게 숏 공격을 당했습니다

    • 당시도 고평가 논란이 일었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현재는 400불을 훨씬 뛰어 넘었습니다

    • 즉 현재 테슬라를 매출로만 따지면 고평가지만 테슬라가 갖고 있는 잠재적인

      성장율을 따진다면 아직도 충분한 상승 여력이 남아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테슬라는 주가수익비율이 240배로 상당히 고평가된 상태로 보입니다. 로보택시, AI 사업 등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지만, 전기차 수요 둔화와 경쟁 심화 등을 이유로 현재 주가가 적정가치 대비 과대평가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1. 고평가의견의 근거

    대부분의 전통적인 가치 평가 지표를기준으로 볼 때, 테슬라 주가는 고평가 상태라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테슬라의 P/E 비율은 동종 자동차 산업 평균은 물론, 기술주 평균보다도 훨씬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현재 수익 대비 주가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부 분석에 따르면 P/E가 100배 이상)

    PEG 비율(P/E를 성장률로 나눈 값) 역시 높게 나타나, 현재의 성장 속도에 비해 주가가 과도하게 높다고 판단하는 근거가 됩니다. 최근 분기별 차량 인도량 및 매출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주가가 이미 반영하고 있는 '엄청난 미래 성장'을 실제로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2. 적정 가치 또는 저평가의견의 근거는 테슬라를 적정 가치로 보거나 잠재적인 성장을 고려하여 투자하는 이들은 테슬라를 단순한 자동차 회사가 아닌 미래 혁신 기업으로 평가합니다.투자자들은 테슬라의 가치를 다음과 같은 미래 성장 동력에 두고 평가합니다. 기존 산업 구조를 파괴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낮은 수익성이나 높은 P/E 비율은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이들은 전통적인 지표로 테슬라의 가치를 온전히 측정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결론적으로 적정 가치를 받고 있는지에 대한 답은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전통적/보수적 관점: 현재 주가는 실적 대비 고평가 상태입니다.

    성장/혁신적 관점: 미래의 잠재적인 독점적 지위와 기술 혁신을 고려하면 현재 주가는 합리적이거나 저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현재 주가가 과도하다고 보고 있지만, 목표 주가는 계속해서 상향 조정되는 등 의견이 매우 분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