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댄디하늘
댄디하늘

곤충은어떻게 호흡하나요? 폐가 없는데?

곤충은어떻게 호흡하나요? 곤충은 사람처럼 폐가 없는데 어떻게 산소를 얻고,몸속으로 전달하는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신기하기도 하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곤충은 사람과 달리 폐가 없기 때문에 공기 중의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고유한 호흡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곤충의 호흡 시스템은 '기관계'라며 불리며, 이는 몸 전체에 분포된 작은 관들인 기관을 통해 공기를 직접 조직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기관계는 곤충의 몸표면에 있는 여러 개의 작은 구멍ㅡ기문ㅡ을 통해 공기를 받아들입니다. 이 기문은 곤충의 몸표면에 위치한 밸브와 같은 구조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공기가 기문을 통해 들어오면, 기관이라고 불리는 미세한 튜브를 통해 몸 안으로 전달됩니다. 이 기관은 점점 더 작은 분기로 나뉘어져 마지막에는 기관삭이라고 불리는 매우 미세한 튜브로 끝나며, 이를 통해 산소가 직접 세포에 도달합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곤충은 산소를 매우 효율적으로 조직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배출 또한 기관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곤충의 기관계는 적은 에너지로 호흡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곤충이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곤충들마다 다르지만 튜브네트워크라고하는

    기관계를 사용합니다.

    기관계에는 기관과 기관지, 기문으로 나누어져있는데,

    기관은 몸바깥에서 내부로 산소를 전달하는 관이고

    기관지는 이 기관보다 더 미세한 관입니다.

    조직과세포에 직접 연결되고 산소를공급해줍니다.

    기문은 곤충몸표면에있는 작은 구멍인데,

    외부의 공기를 기관계로 받아들이는 역할을합니다.

    먼저 기문을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기관을타고 기관지로 퍼져나갑니다.

    기관지 끝부분에서는 조직세포가 연결되어있어

    산소와 이산화탄소교환이 직접 이루어집니다.

    가스교환은 폐나 아가미와 동일하게 확산을통해서 이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곤충은 일반적으로 배의 옆구리에 있는 숨구멍(기문)을 통해서 호흡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 곤충은 폐 대신 기관계라는 독특한 호흡 구조를 통해 산소를 얻습니다. 몸 표면에 위치한 작은 구멍인 숨구멍(기문)으로 공기가 들어오고, 공기는 몸 안의 기관(trachea)을 통해 직접 조직과 세포로 전달됩니다. 기관은 가느다란 관처럼 뻗어 있어 산소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는 반대로 기문을 통해 배출됩니다. 곤충은 혈액을 산소 운반에 사용하지 않으며, 기관계는 작은 몸집에 적합한 방식으로 빠르게 산소를 확산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곤충은 폐가 없어도 생존하고 활발히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보통 기문이나 기관, 기관계라고하는 호흡가능한 구조를 갖고있습니다.

    이곳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교환이 일어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