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신중한잠자리251
신중한잠자리25123.05.12

미국 경제가 디폴트에 빠질 수도 있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미국같은 세계 최대의 국가인 미국마저 디폴트에 빠져 버린다면 세계 경제는 물론 우리나라 또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우려가 매우 큰데 무엇때문에 미국이 디폴트에 빠질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지 속 시원하게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미 지난 5월에 채무한도를 꽉 채웠으며 그 이후에는 각종 비상조치들을 동원해 오는 8월2일까지 임시로 재정을 꾸려가는 중입니다.

    미국은 균형재정이 아닌 적자재정이므로 매번 주기적으로 나오는 위기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정부가 디폴트에 빠질 가능성은 미국의 부채한도 유예기한이 연장되거나 한도가 늘어나지 않는 이상 미국 정부기관은 국채를 발행할 수 없게 되고, 이는 부채상환에 필요한 자금을 투자 받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뜻으로 미국이 채무불이행을 당할 위기에 처해있다는 뜻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경제가 디폴트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는 현재 미국이 발행할 수 있는 국채의 한도가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입니다. 이 국채의 발행한도의 증액을 현재 논의중이나 공화당의 반대로 인해서 증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만약 국채의 추가발행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미국의 경제는 대규모의 침체에 빠지거나 혹은 이자를 지급하지 못하게 되면서 부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채한도상향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이유는 상원 민주당과 하원 공화당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기 때문이며 이번달안에는 무조건 이루어져야 부도가 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 현재 부채한도가 다달아 추가적이 국채발향에 대한 부채한도 상향 협상이 의회와 정부가 진행중이나 만약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미국의 디폴트가 현실화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상 ‘부채 한도’하면 말 그대로 빚을 질 수 있는 한계, 즉 상한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채 한도를 초과한다는 것은 채무 상환 능력, 즉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이 자꾸 줄어든다는 소리이기도 합니다.

    미국은 나라 살림을 하는 정부가 빚을 너무 많이 지면 안 되니까 의회가 그 한도를 정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민주주의 국가에서 이렇게 법으로 국가의 부채 한도를 정해 놓는 나라는 미국과 덴마크 단 두 나라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정부는 의회가 국가 부채가 늘어나는 것을 꺼리고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는 이유 등으로 관련 법을 채택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의회가 책정해 놓은 미국의 부채 한도는 31조 4천억 달러입니다.

    지난 1일,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의회 지도부에 서한을 보내, 부채 한도를 올리지 않으면 다음 달 1일로 미국 연방 정부가 ‘채무불이행(default)’ 사태를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세금과 관세 등을 통해 수입을 만들지만, 궁극적으로 세수보다는 지출 규모가 훨씬 큰 나라입니다.

    공무원들에게 월급도 주고 사회보장제도와 건강 보험 같은 복지와 군대 등을 운영하려면 돈이 필요한데 부족하니까 미국 정부는 국채 등을 발행하는 식으로 이를 충당해 왔습니다.

    그런데, 2021년 12월, 부채 한도를 기존의 한도보다 2조5천억 달러 늘려 지금의 31조4천억 달러로 책정한 건데요. 하지만 1년여 만에 다시 부채 한도에 이르면서 디폴트 비상이 걸린 상태입니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중간 선거 이후 미국 연방 의회는 상원은 민주당이 여전히 다수당이지만 하원은 공화당이 다수당이 됐습니다. 이는 바이든 정부가 부채 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야당인 공화당을 설득해야 한다는 이야기인데요.

    하지만 공화당은 부채 한도를 올려주는 대신 정부 예산 삭감을 조건으로 내걸고 있습니다. 하원은 지난달 국가 부채 한도를 1년간 1조5천억 달러를 올려주는 대신 대규모 정부 지출 삭감을 요구하는 예산안을 통과시키면서 정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양 당 사이에 극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디폴트가 현실화될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속적인 경기침체, 예산으로 감당 안되는 공기업부채, 정치척 이기주의, 재정관리부실등이 원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