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위정척사(衛正斥邪)는 조선 후기에 일어난 사회운동으로, 정학(正學)인 성리학과 정도(正道)인 성리학적 질서를 수호하고, 성리학 이외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사학(邪學)으로 보아서 배격하는운동입니다. 이 운동을 하는 정치세력을 위정척사파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유교 학파이기도 하지요. 또한 전통 사회 체제를 고수했으므로 수구당이라고 불렸고, 이는 1870년대 이후의 수구당이나 수구파와는 다릅니다.
이는 조선 후기에 서학이 들어온 데 영향을 받아 국내에서는 실학 운동이 활발해지고 천주교가 전파되자 주자학의 입장에서 이를 사도(邪道)로 보아 배척하고 국교로서의 유교를 수호하려는 운동입니다.
보수 유생을 중심으로 처음에는 개항, 곧 외국과의 통상을 반대하다가, 뒤에는 항일 의병 운동으로 바뀌었습니다. 외세의 침략을 막으려는 반외세 자주 운동이었지만, 지나치게 전통 사회 체제를 고수하려고 하여 시대의 흐름에서 뒤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것은 제1기에 천주교 배척과 실학자 탄압으로, 제2기에는 개화반대와 천주교, 동학의 거부로, 제3기에는 국권수호와 의병운동으로 전개되어 한말까지 꾸준히 계속되었습니다.
1785년 서학의 옥이 일어나자 유하원등은 양서의 금단을 주장하였으며, 1788년 이경명이 서학의 폐단을 상소하고 그 해 8월에는 천주교책을 불사르게 했습니다.
1791년부터 정부에 의한 천주교박해가 본격화되었는데 이것은 거의 모두 유교의 입장에 선 고관들의 상소에 의한 것이었으며, 1839년 이지연이 천주교 토치를 논하고 기해사옥이 일어나 천주교 다수를 처형하고 오가작통법을 시행하였으며 이 해 11월에 '척사윤음 '이 반포되었습니다.
1866년 기정진, 이항로 등이 척화소를 올렸고, 1876년에 강화도조약이 맺어지자 이만손 등의 만인소가 개화반대 여론을 일으켰고 이것은 김평묵, 최익현 등에 의하여 꾸준히 계속되었습니다.
갑오개혁 이후에는 항일의병운동이 일어나 국권수호, 매국역도 격살, 항일 무장투쟁 등으로 전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