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과 디폴트는 같은 의미로 봐야 하나요?

미국 정부의 셧다운과 디폴트에 대한 뉴스를 봤는데 문맥상 같은 의미 같기도 하더라구요. 셧다운과 디폴트는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셧다운은 shut down으로 일시적인 부분 업무정지 상태를 말합니다. 미국의 경우 예산안 처리가 무산되면 공기관의 예산을 배정받지 못해 연방공무원에게 강제 무급휴가 조치가 내려집니다. 이를 셧다운이라 합니다. 즉 정부가 재정 확보를 못함으로 부족한 재정으로 일부 부서나 서비스의 운영을 중단시키는 것입니다.

    디폴트는 말 그대로 채무불이행입니다. 채무에 대항 이자와 원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미국의 국가부채가 높다보니 정치적인 이슈로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데 아직 디폴트의 사례를 없음으로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 디폴트뉴스가 많은데 디폴트는 채무불이행이고 셧다운은 정부폐쇄의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셧다운은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경우 정부기관이 잠정폐쇄 하는것을 말합니다. 디폴트는 채무불이행 상태가 된상태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정부가 디폴트 상황이 되면, 정부를 위해서 일하는 사람들의 임금이나, 기타 비용들을 지불할 수 없는 상황이 되므로, 정부가 셧다운이 됩니다.

    같은 연장선상에 있다고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같은 의미로 보셔도 됩니다.

    문맥에 따라 다르지만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 등의

    결렬에 대하여 셧다운 또는 디폴트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셧다운이라는 것은 미 정부가 재정지출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며, 디폴트라는 것은 미 정부가 채무의 불이행을 선언하는 것으로서 2개는 차이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셧다운은 재정지출을 하지 못하여 미 정부가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면 디폴트는 부도선언으로서 미국경제가 단숨에 무너지게 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