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눈부신돌고래294
눈부신돌고래29424.01.05

한달째 처방과 증상 되 돌아옴 관해서 입니다

나이
27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제산제 같은 장 운동 및 유산균 관련
기저질환
변비, 설사관련

거의 3번째 내과에서 역 처방 받았구요 첫 증상 발현일은 11월 20일 이후 였습니다. 처음에 먹은 삶은 계란이 상해서 탈난거 같아 수분 보층을 하였고 3일 되어도 설사 증성이 심해서 내과의원가서 약 처방 받았습니다. 그래도 다 먹으면 다시 증상 재발되어 또 1주일치 받고 그러다 3일 되니 다시 증상이 보여 또 처방 받은 뒤 오늘 입니다.

그 동안 살펴 본 바에 변 색깔이 녹검 혹은 녹색 또한 정상변 변주에 가깝게 보였으며 대변 크기와 모양도 정상으로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후 다시 물변과 같은 증상이 오기전 (약 복용 끝난 이후) 토끼똥 같은 변을 보았으며 이후에 물변과 찷흙 같은 변을 봅니다. 심한 통증까진 이어진적 없었구요

변을 본 이후에는 잔변감은 없다시피 합니다. 그러나 삶은 계란 먹기 전 까지만 하여도 온전한 변 형태를 보긴 하였습니다. 몇가지 증상 보였으며, 11월 이전 어느날 녹색 변 혹은 조금 검은 형태의 변를 보았고 조금식 가느다랗게 변하기도 하였습니다. 완전히 손가락 보다 더 얇진 않았습니다. (덤으로 설사 증상오면 변 보는데 쾌변마냥 깔끔하지 않습니다)

제가 몇가지 추측하자면 최근에 간단한 운동을 하질 않았으며, 식습관 불군형과 하루 2끼 먹거나 하였습니다. 덤으로 생활패턴 원인도 있었구요

운동 부족과 그리고 식습관 원인일까요? 사실 최근에 다 나은 줄 알고 기름진 음식, 튀김류, 자극적인 음식 섭취를 하긴 하였습니다

오늘 변 색깔 보았는데 다행이 선훙 빛깔 변이 아닌 녹색에다 검은 물변 이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아람 의사입니다.


    답답하신 마음은 알겠으나, 현대에서는 변의 색과 성상을 보고 질병을 진단하지는 않습니다. 검사를 할지말지 결정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정도입니다.


    대장내시경을 해 보시고 그 후에도 발견되는 것이 없다면 과민대장증후군에 준하여 올바른 생활습관을 가지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감염후 과민성 장 증후군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과거에는 정상적인 배변 습관을 가진 사람들이 급성 장염에 걸린 후, 과민성 장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증상을 겪을 수 있었습니다. 이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감염 후 과민성 장 증후군' (PI-IBS)로 알려져 있으며, 급성 설사 환자 중 약 6~17%가 이에 해당합니다. 감염성 장염으로 인한 환자들 중에서는 약 7~33%가 장차 과민성 장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과민성 장 증후군은 다른 기질적인 질환 없이 나타나며, 배변 양상의 변화와 동반된 복통 또는 복부 불편감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인 기능성 위장관 질환입니다. 이 질환의 병태생리학적인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장내 감염은 평활근과 근육층 신경총에서 다양한 사이토카인 생산을 유도하고 신경전달물질의 생산을 변화시킴으로써 신경근육 조직의 계속적인 기능 이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염증이 장내 민감도를 증가시킨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다시 말해, 장 내 저등급 염증은 과민성 장 증후군의 병인으로 간주되며, 내장 과민성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장내 감염이 치유되더라도 장관 관련 증상이 계속해서 나타날 수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유감스럽지만 해당 증상에 대한 정보만 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단순히 운동 부족 및 식습관의 문제로 넘어가기에는 다른 문제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증상이 계속되어 발생하고 지속된다면 소화기내과적으로 질병에 의한 것은 아닌지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