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공손한사자98
공손한사자9822.07.30

대출을받아서집을매수하고싶습니다

생에첫집을구매하려고합니다현제 아파트가격이

많이하락하는시점에 대출을받아서 구매하려고하는데

서울과경기도중어디가괜찮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태호 공인중개사입니다.


    개인의 재산상태나 여러가지 사정을 종합적으로 알고 있는게 아니라서 어떤 지역의 주택을 사라고 권유를 못하겠지만 서울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경기도권 주택을 매수하시는게 부담이 덜하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호욱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 한국 부동산 시장이 1990년 일본자산 버불 붕괴와 상황이 비슷한점이 있어요

    선행시장인 주식시장에서 올해1월 외국인 11년이래 풋옵션 (하락에배팅)2번째로 많은 몇백억 대량매수

    그리고 주식을대량매도해서 차익실현 주가지수가 3000에서 2200까지 떨어져고 25%하락

    미국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금리인상 한국도 따라서 금리인상

    이로 인해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서울경기 실거래수 작년대비 10%로 하락 매수심리가바닥을 찍고

    동탄신도시는 17억 까지 가던아파트가 5억이하락한 12억에거래 현재 서울경기 부동산시장 조정국면이고

    계속하락할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이 2-3년동안 계속하락할것이냐는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윤석렬 정부의 부동산 법 계정에 따라 (재건축재개발규제완화 다주택자세법) 부동산시장이 하락을 계속할지바닥을

    찍고 보합으로 갈지 결정된다고 보여집니다.

    참고로 미국연준이 인플레이션이 2%대가되면 금리인상을 멈춘다고 하고 한국도 따라서 금리인상을 멈추것 같네요

    윤석렬 정부의 부동산법 계정 과 금리인상을 멈추면 그후에 상황을 판단하여 서울지역 저평가 아파트 구입을

    고려해보세요

    1990년 일본자산시장은 버불이 너무많았어요 도쿄의땅을 팔면 미국 전체를 살정도였고 1980년 부터

    1990년까지 주식시장은 4배 부동산시장은 3.5배 상승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 10년동안 50%상승 했다가 현재 주식시장하락으로 10%상승 서울아파트 100%정도상승

    으로 볼때 조정국면으로 보여집니다.

    1990년 일본 버불붕괴시 2년동안 30%하락 총10년동안 50%하락

    가장중요한것은 버불이형성된냐는것인데 저는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인구1000명당주택수도 도쿄보다 서울이200가구 정도 적고 서울의 주택보급율이 95%입니다.

    서울은 아직도 주택이 부족합니다.

    유석렬정부의 5년간 250만호 공급공약이 지켜진다면 그때 100%로가됩니다.

    얼마전기사에 역세권재개발 용적율500% 검토중이라는 기사가 난네요.


    일본 버불붕괴는 내부적인 요인으로 부동산 붕괴되었다고 볼수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 급락은 외부적 환경 즉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세계 적으로 원자재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미국연준이 금리를 가파르게 올림으로서 우리나라도 어쩔수 없이 금리를 올리 면서 시중 유동성이

    줄어들고 주택담보 대출 금리가 올라 갔기 때문입니다.

    미국연준은 어느정도의 경기침체를 동반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리것으로

    예고하고 있고 어느정도 까지 금리를 올릴지는 누구도 모르는 상황입니다.

    이것을 시장의 불확실성이라고 하는데 투자자들이 제일 싫어 합니다.

    이 불학실성이 어느정도 해소되면 그후에 상황을 판단해서 결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