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3.27

자본 잠식이란 무슨뜻이며 왜 생기는건가요?

간혹 뉴스에서 보면 자본 잠식이라는 표현이 쓰입니다.

이런 자본잠식은 정확히 어떤 뜻이며 기업어서 이런현상ㅈ이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금 + 잉여금 중, 잉여금이 바닥난 후 자본금마저도 잠식되기 시작하는 상태로 순자산(자본)(equity)이 자본금(資本金, Legal captial)보다 더 적은 상태를 말합니다.

    쉬운말로는 여러가지 사유로 투자한 자본금을 모두 소진한 것을 말하며,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42967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회사의 적자폭이 커져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을 까먹기 시작하는 것을 '(부분)자본잠식'이라고 합니다.

    즉 자기자본이 자본금보다도 적은 상태가 될 경우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회사의 적자가 계속되다 보면 결국 납입자본금마저 사라집니다.

    결국 자본이 모두 바닥나게 되고 자기자본이 마이너스로 접어들게 되는데 이를 '자본 전액잠식' 또는 '완전 자본잠식'이라 부릅니다.

    주의할 점은 자본총계가 마이너스로 가지 않더라도 자본잠식이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자본잠식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자본총계가 아니라 바로 자본금입니다.

    예를 들어 5000만 원의 자본금으로 출발한 회사가 있다고 하면

    이 회사가 영업을 못해 3000만 원 손실을 냈다면 자기자본은 2000만 원이 됩니다. 이 때 이 기업의 자본잠식율은 60%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capital erosion)은 기업의 자산이 부족하여 부채를 상환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어서, 기업의 자본금이 소모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기업의 부채가 자산보다 많아져서, 기업의 순자산이 감소하고, 자본금이 소모되는 것입니다.

    자본잠식은 기업의 재무상태가 나빠지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매출이 감소하거나, 경영상의 문제로 인해 부채가 증가하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은 자본금을 보호하기 위해, 부채를 감소시키는 등의 대처가 필요합니다.

    자본잠식이 지속되면, 기업의 재무상태가 악화되고, 신용도가 낮아지게 되어, 기업의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기업은 자본금을 보호하고, 자산과 부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재무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업 경영전략과 위험관리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자산보다 부채가 더 많은 상태로 자본이 소모되어 소액의 자본만 남아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기업의 부채가 기업의 자산보다 더 많아져서 기업이 가진 자본의 가치가 소모되어 더 이상 자본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족한 상태를 말합니다.

    자본잠식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예를 들면, 기업의 대출 부담이 늘어나거나, 부실채권 발생으로 인한 비용 부담, 영업활동 손실 등이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재무상태를 평가하는 지표인 부채비율이 높아져서 자본잠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본잠식은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해칠 뿐 아니라, 주주나 채권자에게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주주는 기업의 이익 배당을 받을 수 없게 되고, 채권자는 대출금 상환에 대한 부담을 더 많이 갖게 됩니다. 따라서, 기업은 자본잠식을 예방하기 위해 부채를 적절히 관리하고, 안정적인 이익 창출을 통해 자본을 축적하는 등의 대응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capital erosion 또는 negative equity)은 기업의 자산이 부채보다 적은 상태를 말합니다. 즉, 기업의 순자산이 마이너스인 상황입니다. 이는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 안정성과 존속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업이 파산하거나 부도에 이르는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자본잠식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부채를 무리하게 증가시켰거나, 매출이 감소하거나 손실이 발생했을 때 자본잠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산가치가 감소하거나, 장기적인 경영전략의 실패 등으로 인해 자본잠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자본잠식이 발생하면 기업은 자본금 증액, 유상증자, 부채를 감축시키는 등의 대책을 통해 자산과 부채의 균형을 맞추려고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고, 경제적 부담을 더 할 수 있으므로 기업은 자본잠식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예방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라는 것은 주식회사의 자본총계가 자본금다 작아진 상황을 의미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자본이라는 것은 (자산-부채)를 통해서 구해지게 되는데, 자본금은 다시 자본금, 이익잉여금, 기타로 구분되게 됩니다.

    자본금이라는 것은 주식회사가 투자를 받은 금액을 의미하는 것인데, (주식발행수*주식액면가액)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그럼 당연히 자본금은 자본을 구성하는 항목이기에, 자본을 넘어설 수 없는 구조이지만 회사가 영업을 잘못하여 이익잉여금부분이 결손금이 되어 -로 되는 경우에는 자본금이 자본에 비해서 커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투자받은 자본금이 총자본보다 커진 상태를 자본잠식 상태라고하며, 자본이 양인 경우에는 부분자본잠식상태라고하며, 자본이 음수인 경우가 된것은 완전자본잠식상태라고 말하게 됩니다.

    이렇게 자본잠식이 되는 경우는 회사가 해당 사업을 잘 영위하지 못해서 지속적으로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 만들어지게 되며,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되면 향후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하기에 상장폐지를 당할 수도 있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회사의 적자폭이 커져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을 까먹기 시작하는 것을 (부분)자본잠식 이라고 합니다. 즉 자기자본이 자본금보다도 적은 상태가 될 경우른 의미합니다. 하지만 회사의 적자가 계속되다 보면 결국 납입자본금마저 사라지게 되는데 자본이 모두 바닥나게 되고 자기자본이 마이너스로 접어들게 되는것을 완전자본잠식 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