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현명한뻐꾸기232
현명한뻐꾸기23223.03.15

가을에 알록달록 단풍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여름이 지나고 추운 가울이 오게되면 산에 나뭇잎들이 알록달록 단풍이지게 되는데요. 어떤 이유에서 단풍잎이 생기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에 알록달록한 단풍이 생기는 이유는 엽록소(Chlorophyll)의 생성량이 감소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엽록소는 식물에서 빛을 흡수하여 광합성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가을이 되면 일부 식물은 겨울을 대비해 엽록소를 철저하게 분해하고 저장합니다. 이 과정에서 엽록소는 분해되고, 이에 따라 그 동안 엽록소로 가려져 있던 다른 색상의 화학물질들이 드러나면서 알록달록한 단풍색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화학물질 중에서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것은 카로티노이드(Carotenoid)입니다. 카로티노이드는 노란색, 주황색 또는 붉은색을 띠는 화학물질로, 엽록소보다 더 오랜 기간동안 존재할 수 있어서 가을에 단풍색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식물의 잎에 있는 물질 중 하나인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가을에 빛의 파장과 온도 등의 조건이 변화하면서 강도와 양이 증가합니다. 안토시아닌은 보라색, 빨강색 또는 갈색 등의 색을 띠는 화학물질로, 식물의 잎뿐 아니라 과일, 꽃 등에도 많이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에 나무의 잎이 붉게 물들고 떨어지는 현상은 '단풍'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나무가 겨울을 맞이하기 위한 생존 전략 중 하나입니다.

    나뭇잎에는 엽록소라는 녹색색소가 있어서 봄, 여름철에는 엽록소가 나무를 위한 에너지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지만 가을이 되면서 나무에서 에너지가 고갈되고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이때 나무에서는 엽록소를 대체할 다른 색소를 만들기 시작하는데, 이 색소들이 나뭇잎을 노랗게, 주황색으로 물들이고 가을 바람에 흔들리며 떨어집니다.

    단풍잎이 붉게 물들이는 경우에는 이러한 색소 외에도 '안토시아닌'이라는 색소가 있어서 붉은 색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 색소는 특히 일본단풍, 단풍나무, 메이플 등의 종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이러한 단풍잎은 나무가 겨울을 맞이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이기도 하며, 가을의 아름다운 경치를 만들어내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