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일본이 금리를 올린다고 발표를 했는데
일본이 금리를 올리는것과 유럽이 올리는것 등 이
우리나라 증시와 무슨 상관이 있는건지 왜 주가가 하락을 크게 하는지 궁굼합니다.
일본증시도 폭락이고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여태껏 미국의 기준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인상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일본이 금리를 인상했다는 것은 그만큼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로 인한 경제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입니다.
일본이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일본 기업들은 이제 저금리로 사용하던 대출을 조금 더 높은 이자로 사용하게 되다보니 비용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저금리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침체인 상황의 일본 경제가 금리가 인상된다면 더 깊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일본의 증시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증시 하락은 일본의 금리인상에 따른 여파라기보다는 미 연준의 긴축의지를 재확인 하는 과정과 한국은행 또한 내년 3.5%의 상한선의 금리를 제시하였던 것을 말을 바꿔서 3.5%보다 더 높은 금리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하게 되면서 한국 기업들 또한 더 깊은 침체에 빠질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게 되어서 한국 증시도 하락하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사실상의 금리인상을 단행하는 것으로 시장은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당초에는 일본은행이 현행 부양책을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봤었기 때문에 정책 수정에 충격을 받은 모양새입니다.
우리나라도 국채 금리가 뛰면서 지수 낙폭이 확대됐구요.
환율이 강세로 바뀌면서 외국인 매도세도 커졌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는 계속된 금리인하책 등을
고수하였습니다만 금리인상 국면 등이 언제끝날지
모르는 등 앞으로 불확실성이 매우 커짐에 따라서
이러한 경기 부양책 등을 포기함으로써 국제적으로 위상이 큰
일본에 따라서 주식 등이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일본이 금리를 올리게 되면 유일하게 주요국 중 통화완화정책을 유지하던 일본 마저 긴축으로 선회하게 된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불안 요소를 키우게 되어 주가가 크게 떨어지게 되며, 일본증시 역시 이의 영향을 가장 직격탄으로 받을 수밖에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 중앙은행이 채수익률 곡선통제(YCC) 정책상에서 장기(10년만기) 금리의 변동 허용폭을 기존의 ±0.25%에서 ±0.5%로 상향조정했다는 것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사실상 금리인상과 같은 효과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이정책은 양화정책 축소를 의미하기 때문에,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를 하락 시키는 뉴스입니다.
이러한 뉴스가 한국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이유는,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러한 거시적인 뉴스를 가지고 투자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도 물가상승률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인상은 진행하였습니다. 금리인상의 경우 시장의 유동성 축소를 유발하여 증시에 유입되는 유동성을 감소시켜 증시에는 부담되는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