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기발한파리23
기발한파리2323.06.19

6월 미국 물가 전망이 3% 초반인데 왜 금리를 계속 올린다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6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했지만 올해 2번은 더 올린다고 시사하였습니다. 근데 6월 cpi 전망을 찾아보니 3% 초반이더군요? 충분히 물가가 내렸다고 생각하는데 왜 금리를 계속 올린다고 이야기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직도 핵심을 여전하게 물가입니다. 그중에서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물가로 아직 5.3% 상승하는 등 높다고 연준에서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준은 소비자 물가 지수가 아닌 pce 지표를 참고합니다. 소비자물가 지수는 신경쓰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번 6월 금리동결이 자칫 잦아드는 물가에 다시 인플레를 주는 기대를 방지하려고 하는 목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금리를 인하한다고 발표하면

    다시 물가가 상당부분 치솟을 수 있기에

    함부로 발표하지 않는 것이며 여지를 남겨놓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 4%대 초반이나 질문자님의 말씀처럼 3%대의 물가상승률을 보이고 있으나 fed의 목표물가상승률인 2%대로의 물가상승률까지 낮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 연준이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시장이 최근 미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동결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의해서 과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 외에 제시하였던 것은 소비자물가지수 외에 PCE의 경우에는 여전히 높은 것을 들면서, 향후 이러한 지수가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였지만 실질적으로 CPI값은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하고 있고 실업률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금리인상에 대한 기대값은 낮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