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하얀고슴도치236
하얀고슴도치236

과학적으로 옆에서 안보이는 스마트폰 필름 같은것은 어떻게 만드는건지 궁금합니다.

과학적으로 옆에서 안보이는 스마트폰 필름 같은것은 어떻게 만드는건지 궁금합니다.

그 필름중에 붙여두면 옆에서는 안보이고 앞에서만 보이는 필름같은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생활 보호필름은 미세한 빛의 가림막을 사용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불투명한 부분과 투명한 부분을 교차로 배열하여 사생활 보호 필름을 제작합니다. 그러면 빛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모니터에서 나올 때 불투명한 부분과 불투명한 부분 사이를 통과하여 나오기 때문에 거의 직진하게끔 만들어줍니다. 그래서 옆부분에서 보면 화면이 어둡게 보이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필름은 편광의 원리를 이용합니다.


      편광은 필름이루는 원자 및 분자구조가 결정형태를 이루어

      빛이 한쪽 방향으로만 투과되는 성질이 생깁니다.


      우리눈에서는 특정 각도로 쳐다볼 때에만 빛이 투과되어 들어오므로, 다른각도에서는 휴대폰이 제대로 보이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보안필름은 필름위에 사선 형태의 구조물을 넣어서 사선으로 나가는 빛을 차단합니다. 빛이 차단되지 않는 정면에서는 보이지만 사선 또는 대각선 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원리입니다. 창문의 블라인드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요즘에는 보안필름 역할을 하는 핸드폰 어플도 나왔다고 하고, 노트북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선이 사라지면 화면이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도 탑재되어 나온다고 합니다.

    • 보안필름이나 액정보호필름은 빛의 편광을 이용해서 만듭니다.

      빛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파동인데,

      편광필터를 이용해 특정 방향에서는 빛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