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후 조선가사는 어떻게 변화를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조선가사는 주로 사대부들에 의해 지어졌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유교적인 이념을 전달하거나 자연의 경치를 노래한 작품이 많았는데요~ 임진왜란 이후 변화가 있었다고 하는데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후 조선가사는 어떻게 변화를 하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신분제의 동요, 평민 의식의 성장, 실학사상의 대두 등으로 인해 문학 담당층이 평민과 부녀자로 확대되었고 가사 또한 장편 가사 및 변격 가사의 등장으로 형식이 다양해졌으며, 관념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체험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게 되는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 이후 사대부가사가 변모를 보이기 시작합니다. 작가의 시선이 자연에 대한 관심에서 현실의 문제로 이동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박인로의 '누항사'와 정훈의 '우활가' · '탄궁가'는 안빈낙도를 표방하지만 생활고가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박인로의 '태평사' , '선상탄' 최현의 '용사음' 등에서는 임진 · 병자 양란을 배경으로 왜(倭)나 청(淸)에 대한 적개심을 표현하면서 전쟁의 비참함이나 전쟁으로 인한 사회의 피폐상을 읊었고, 파당과 분쟁을 일삼으며 수탈을 자행하는 위정자들을 신랄하게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가사의 담당층과 향유층이 크게 확대되어 가사의 성격이 크게 변모하는 시기입니다. 사대부가사의 영향을 받아 규방에서도 가사 창작과 유통이 활발해졌고, 시정(市井)문화가 확산되면서 계층을 넘어서 향유될 수 있는 서민 취향의 가사가 생성됩니다. 시정 음악문화의 성행으로 가창 위주의 가사가 나타난 것도 이 시기 가사 변모의 한 특징인데, 오늘날 12가사라는 형태로 남아 있는 이 가창가사는 시정 음악문화권을 통해 형성된 작품들로서 가사의 외연을 넓히면서 잡가 장르 형성에 주요 동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사실 통속적 애정을 주요 주제로 삼는 서민 취향의 작품들이란 대부분 이러한 시정 음악문화권을 통해 형성된 것입니다.

    임진왜란 이후 사대부 중심의 가사의 주제와 내용이 변화하였고 현실적인 생활 그리고 서민적 삶과 관련된 가사들이 많이 창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