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에서 모럴해저드의 방지가 뭐에요?
Moral Hazard(모럴해저드)란 단어자체가 생소하네요. 헤지펀드가 어느 한 쪽에 치우쳐 빠지는 걸 방지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모럴해저드란 도덕적 해이를 의미하며
시장 또는 기업, 공공기관 등 조직에서 계약의 한쪽 당사자가
정보나 자기만 가진 유리한 조건을 이용해 다른 사람들을 희생시켜 이득을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모럴해저드라는 것은 도덕적 해이라는 단어이나 이러한 모럴해저드가 경제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시장경제를 조성하는 특정 기업이나 혹은 기관이 조직에서 가진 유리한 정보나 조건을 통해서 다른 이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본인의 이익을 취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모럴해저드는 '도덕적 해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헤지펀드에서 모럴해저드의 방지라는 것은 도덕적으로 혹은 법적으로 문제가 되거나 누군가에게 손해를 끼칠 만한 행위를 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모럴 헤저드 방지란, 보험 또는 금융 계약에서 한 측이 보호받는 상황에서 그 보호를 받는 측이 위험을 무시하거나 과도한 위험을 무리하게 감수하는 현상을 예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적절한 계약 설계: 계약 조건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상호간의 의무와 책임을 분명하게 명시합니다. 이는 모든 당사자가 위험을 이해하고 공정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인센티브 정책: 보호받는 측에게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위험을 관리하도록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성과에 따라 보상을 조정하거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행동에 대해 장려할 수 있습니다.
3) 감시와 감독: 계약 당사자의 행동을 감시하고 감독하는 체계를 구축합니다. 이는 위험을 관리하고 계약 이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모럴 헤저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 정보 공개와 투명성: 계약 조건과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상호간에 공개하고 투명성을 확보합니다. 이는 모든 당사자가 위험을 인식하고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5) 규제와 법적인 대응: 관련 법규와 규제를 준수하고, 모럴 헤저드에 대한 위반에 대해 법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모럴 헤저드를 방지하고 위반한 당사자에 대한 처벌을 통해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헤지펀드는 소수정예의 자본을 모아 단기적으로 기업을 키워 엑시트하면서 수익을 발생시키는 펀드입니다.
때문에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해당 기업의 근간이 흔들릴수도 있는 위험을 감수하고서도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모럴헤저드 이슈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한국말로 해석하면 도덕적해이로 돈을 위해서라면 어떤 것이든 해야된다는 마인드와 비슷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래는 보험시장에서 쓰이던 용어로 개인이 당장의 이익을 좇아 행동하면서 장기적으로는 큰 손실을 초래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