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배고픈집게벌레
배고픈집게벌레

남묘호렌게쿄라는 종교는 사이비인가요?

남묘호렌게쿄라는 종교를 저희집 할머니, 할아버지가 믿고 계시는데 예전부터 꾸준히 이 종교가 좋다며 포교? 를 하시더라고요 회관에도 데려가기도 하고요 사이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창가학회는 처음엔 종교단체가 아니라 창가교육학회라는 교육자들의 모임이었다고 합니다. 창가(創價)란 '가치를 창조한다'는 뜻으로, 초등학교 교장이었던 초대 회장 마키구치 쓰네사부로( 1871~1944)가 가진 교육 철학이 가치창조였습니다. 창가교육학회의 회원은 모두 각자 자신의 현장에서 마키구치의 창가교육을 실험하고 검증하며 교육이론을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마키구치 쓰네사부로는 자신의 독창적인 교육이론을 자신의 애제자 도다 조세이(戸田城聖)와 함께 체계화하여 남기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출판한 책이 바로 '창가교육학체계'이며 이 책의 발간일인 '1930년 11월 18일'을 훗날 창가교육학회의 창립일로 정했다고 합니다.

    남묘호렌게쿄는 일본의 승려 니치렌(1222년~1282년)이 주창한 불법(仏法)을 신앙의 근간으로 하는 불교계열의 신흥종교단체입니다.
    1930년 11월 18일에 창립되었으며 정식 명칭은 국제창가학회, 영명은 SGI입니다. 1930년 11월 18일 설립 당시에는 명칭이 창가교육학회였고, 1947년에 창가학회로, 다시 1960년대 초에 국제창가학회(SGI)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창가(創價, Soka)란 가치를 창조한다는 의미입니다. 학회(學會, Gakkai)는 배우는 모임이라는 의미. 결국 종합하면 창가학회라는 조직명은 '가치를 창조하고, 배우기 위한 모임'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남묘호렌게쿄"는 그들이 수행으로써 부르는 일종의 기도문이며, 그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종교의 이름을 남묘호렌게쿄라고 오해하지만이는 정식 명칭이 아니라고 합니다. 나무묘법연화경의 일본식 발음인 '나무묘호렌게쿄'에서 유래한 것으로 묘법연화경에 '귀의'한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창가학회는 일본의 승려 니치렌이 주창한 불법을 신앙의 근간으로 하는 불교계열의 신흥종교단체로 남묘호렌케교는 그들이 수행함으로써 부르는 일종의 기도문이지 정식 명칭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