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24.03.05

미토콘드리아 DNA는 왜 모계로만 유전되나요?

미토콘드리아 DNA의 유전정보는 오로지 어머니로부터 물려받는다고 하는데 왜 미토콘드리아 DNA는 부계유전이 전혀 안되고 모계로만 유전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 방식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모계 유전이 되는 이유는 정자가 난자세포에 들어가면 미토콘드리아가 들어 있는 중간부분을 분해하기 때문에 핵을 가진 머리만 난자세포를 관통하기 때문입니다. 즉 정자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DNA는 난자에 들어가지 못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 DNA가 모계로만 전달되는

    주된 이유는 생식 과정에서 미토콘드리

    아의 유전자가 주로 난자를 통해서만 후대에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난자는 부모의

    유전 정보뿐만 아니라 생존에 필요한 세포

    기관과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비교적 큰

    세포입니다.

    정자는 유전 정보를 전달하

    는 것이 주 목적인 매우 작은

    세포로 매우 적은 양의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습니다.

    수정 과정에서 정자의 미토콘드리아

    는 대개 난자 내로 들어가지 않거나 들

    어가더라도 발달 초기에 제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아가 성장할

    때 어머니의 난자로부터 제공된

    미토콘드리아가 주로 사용되므로 개체

    가 가지는 미토콘드리아 DNA는 어

    머니에게서 물려받은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적응적 이점도 제

    공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성에서만

    미토콘드리아 DNA를 전달하면 미

    토콘드리아의 유전자에

    변이가 생겼을 때 그 영향을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그 변이를 유전자풀에서 빠르게 제거

    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효율성과 안정

    성 유지에 기여합니다.

    마지막으로 모계를 통한 유전은 유전자 추적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변이율이

    낮고 모계를 통해 안정적으

    로 전달되므로 시간을 거슬러 여성 계통의 진화

    와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 방식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모계 유전이 되는 이유는 정자가 난자세포에 들어가면 미토콘드리아가 들어 있는 중간부분을 분해하기 때문에 핵을 가진 머리만 난자세포를 관통하기 때문입니다. 이 뜻은 정자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DNA는 난자에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모계유전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 DNA(mtDNA)가 오로지 모계로부터만 유전되는 이유는 수정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전달 방식과 세포의 구조적 특징 때문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소기관으로, 자체적인 DNA를 가지고 있으며, 이 DNA는 세포핵의 DNA와는 별개로 복제, 전달됩니다.

    수정 과정에서의 미토콘드리아

    • 난자의 구조: 난자는 크기가 크고, 수많은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난자 내의 미토콘드리아는 수정 후 발달하는 배아에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 정자의 구조: 반면, 정자는 매우 작고, 미토콘드리아가 적습니다. 정자의 미토콘드리아는 주로 꼬리 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정자가 난자를 향해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자가 난자와 결합할 때, 정자의 꼬리(그리고 그 안의 미토콘드리아)는 대부분 남겨지고, 주로 정자의 머리 부분만이 난자 내로 들어가게 됩니다.

    유전적 전달

    • 모계 유전의 기전: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인해, 수정된 난자는 오로지 모계에서 물려받은 미토콘드리아만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모든 개체는 미토콘드리아 DNA를 어머니로부터만 상속받게 됩니다.

    • 부계 미토콘드리아의 제거: 초기 배아 발달 과정에서, 남성으로부터 온 미토콘드리아가 있을 경우 이를 제거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한다는 증거도 있습니다. 이러한 선택적 제거 메커니즘은 모계 미토콘드리아만이 후대로 전달되도록 보장합니다.

    유전학적 연구의 응용

    모계 유전 특성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DNA는 진화론적 연구, 유전학적 계통 연구, 그리고 법의학에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미토콘드리아 DNA를 통해 어머니의 계통을 따라 올라가며 가계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 DNA가 모계로만 유전되는 특성은 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현상으로, 이는 모든 다세포 생물에게서 관찰됩니다. 이 특성은 유전학, 진화생물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의 기반이 되며,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진화와 유전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의 DNA가 모계유전만 되는것은 미토콘드리아의 특징입니다

    미토콘드리아가 그렇게 진화를 해서 그런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한 DNA로, 세포의 에너지 생산에 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DNA의 유전 정보는 주로 어머니로부터 물려받는다고 합니다.

    이는 미토콘드리아 DNA가 정자에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정자는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지만, 정자의 미토콘드리아는 배아 형성 과정에서 제거되고, 배아는 어머니의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하여 발달하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DNA는 주로 어머니로부터 물려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모계유전"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