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시총이 100억 미만인 회사는 상폐될 확률이 높나요?

제가 가진 주식 중에서 시총이 1-200억 정도하는 기업들이 조금 있는데요. 해당 회사들이 상장폐지당할 확률이 높은지 걱정스럽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거래소의 상장폐지 요건은 코스피 500억원 이상, 매출액 300억원 이상, 코스닥 300억원 이상 매출 100억원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시가총액이 100억원 미만의 경우 상장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관련 기사가 몇일전에 났었습니다. 이러한 내용의 경우 28년부터 시행이 될것으로 보이며, 500억 이하의 시총을 보유한 기업의 주식은 상장폐지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에도 시총이 100억 미만이라면 이 기업의 실적이나 경영상의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기준으로 본다면, 영업손실, 자본잠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것을 토대로 상장폐찌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장폐찌가 된다고 한다면 이는 비상장거래를 할 수 밖에 없고, 그렇다면 주식을 매도하기가 상대적으로 더 힘들어짐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시총이 100억원 미만이면 상장폐지될 확률이 높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코스피의 경우 시가총액 500억원 미만, 코스닥의 경우 시가총액 300억원 미만의 기업들은

    상장폐지 대상이 될 수 있기에

    그 확률은 높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만으로 상장폐지 가능성을 점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부채비율, 총부채액, 매출, 영업이익 등 다양한 항목을 두루 살펴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이 100억 미만인 회사는 다른 기업에 비하여 상장폐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향후 코스닥 상장 유지 기준이 점차 상향됨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상장폐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시가총액 100억 미만 기업은 현행기준(코스피 50억, 코스닥 40억 미만 30일 지속)에서는 즉기 상장폐지 위험이 높습니다. 26년부터는 상장폐지 기준이 단계적으로 강화돼, 시총 100억 미만 기업은 더욱 더 상폐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28년엔 코스피 500억, 코스닥 300억 미만까지 기준니 오르므로, 시총 100억 미만 기업은 상장유지에 매우 불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