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구금 사태 이후 3500억불 투자 난항, 이게 곧 대미 수출 차질로 연결되는 겁니까

미국 현장에서 근로자 구금 사건이 터지면서 투자도 지연되고 있다는 말이 들립니다 결국 이런 정치적 변수가 우리 기업의 대미 수출 애로까지 키우는 상황이 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사실 투자 지연이랑 수출 차질이 항상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건 아닙니다. 그런데 이번 경우는 워낙 규모가 크고 정치적 민감성까지 겹쳐서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투자 계획이 흔들리면 현지 생산라인이나 협력 네트워크가 지연될 수 있고 그게 곧 미국 바이어들이 원하는 물량 공급에 차질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미국 내 규제나 여론이 강화되면 세관 심사나 통관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리스크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투자 문제로 끝나지 않고 우리 기업이 대미 수출을 추진하는 데 불확실성이 더 커지는 상황이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우리나라의 투자는 결국 현지에서의 설비 및 공장에 대한 건설 그리고 이를 가동하기 위한 투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위하여는 한국인들이 파견되어 이에 대한 감독 및 업무에 대한 인계 등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부분이 막히게 된다면 사실상 업무가 제대로 이뤄지기 힘들고, 추가적으로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지연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사실상 미국 입장에서는 오히려 불리하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