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귀한아비83
귀한아비8324.04.08

국내 S&P ETF 차이가 먼가요?

국내 S&P ETF중 TIGER와 KODEX 둘을 가장 많이 하는거 같던데요. 두상품간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운용방식이나 장단점이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TIGER 와 KODEX S&P500 ETF는 모두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두 상품 간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1. 운용방식

    - TIGER ETF는 완전복제방식으로 지수 편입 종목을 모두 편입합니다.

    - KODEX ETF는 주로 최적화방식을 사용하여 지수 추종 종목군을 최적화합니다.

    2. 추적오차(Tracking Error)

    - TIGER ETF가 완전복제방식이라 추적오차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KODEX ETF는 최적화방식으로 인해 TIGER ETF 대비 추적오차가 약간 높습니다.

    3. 비용

    - TIGER ETF의 총비용이 연 0.09%로 KODEX 0.16%보다 다소 낮습니다.

    4. 설정단위(Creation Unit)

    - TIGER ETF 설정단위는 100,000주입니다.

    - KODEX ETF 설정단위는 150,000주로 TIGER보다 큽니다.

    5. 거래량

    - 최근 1개월 일평균 거래량이 KODEX가 약 2배 정도 많습니다.

    장단점 측면에서

    - TIGER ETF는 낮은 추적오차와 비용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 KODEX ETF는 거래량이 많아 유동성 측면에서 앞서며, 설정수수료도 절감됩니다.

    따라서 추종오차와 비용 최소화를 원한다면 TIGER ETF가, 거래 활성화 측면에서는 KODEX ETF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 목적과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운용방식:

    - TIGER: TIGER ETF는 국내 최대 자산운용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운용하는 ETF 상품입니다. TIGER ETF는 지수를 추종하는 passively managed ETF로, 해당 지수의 성과를 따라갑니다.

    - KODEX: KODEX ETF는 한국투자신탁이 운용하는 ETF 상품으로, 마찬가지로 지수를 추종하는 passively managed ETF입니다.

    2. 장단점:

    - TIGER: TIGER ETF는 수수료가 낮고 운용사가 안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TIGER ETF는 다양한 종목을 포함하고 있어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용이합니다.

    - KODEX: KODEX ETF는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고 거래량이 많아 유동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KODEX ETF는 특정 섹터나 테마에 집중한 ETF 상품도 다양하게 제공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TIGER와 같은 경우 PR 상품으로 배당금을 지급하며

    KODEX와 같은 경우 TR 상품으로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사실상 S&P500 지수를 추종한다는 점에서는 같은데, ETF의 운용사가 다르고 거래량이 차이가 나며, 보수율이 각각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KODEX는 삼성자산운용, TIGER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ETF 브랜드 네임입니다.

    자산운용사에 따라 붙는 명칭이 다른 것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TIGER의 경우에는 미래에셋으 브랜드이며, KODEX의 경우에는 삼성증권의 브랜드로서 KODEX가 TIGER에 비해서 더 빠르게 상장이 되었다 보니 거래량이 많고 시가총액이 크다는 차이가 있지만 운용방식의 차이점은 크지 않다고 해요


  •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국내 S&P 500 ETF 중 타이거와 코덱스는 가장 많이 거래되는 상품입니다.

    두 상품 모두 S&P 500 지수를 추종하지만 운용 방식, 비용, 수익률, 투자 전략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운용 방식:

    • 타이거 (TIGER) S&P 500 UCITS ETF: 완전 복제 방식으로 S&P 500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주식을 동일 비율로 보유합니다.

    • 코덱스 (KODEX) S&P 500 UCITS ETF: 대표주 복제 방식으로 S&P 500 지수 구성 주식 중 시가총액 상위 80%를 추종합니다.

    장점

    • 타이거(TIGER):

      • 국내 S&P 500 ETF 중 가장 낮은 총 운용비

      • 과거 수익률이 높음

    • 코덱스(KODEX):

      • 실제 투자 수익률과 지수 수익률의 차이가 적음

      • 삼성증권에서 운용하여 안정성이 높음

    단점

    • 타이거(TIGER):

      • 실제 투자 수익률과 지수 수익률의 차이가 큼

      • 신규 상장 상품으로 운용 경험이 부족함

    • 코덱스(KODEX):

      • 총 운용비가 타이거(TIGER)보다 높음

      • 과거 수익률이 타이거(TIGER)보다 낮음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TIGER와 KODEX의 경우 운영사의 차이입니다. TIGER의 경우 미래에셋자산운용, KODEX는 삼성자산운용입니다. 운용방식의 경우 사실상 비슷하며 장단점도 2개 모두 대형사로 개인적으로 큰 차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수료차이와 운용담당자의 추적오차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마 따져보면 대동소이해서 큰 차이 없을것 같습니다. 미국증시의 ETF는 SPY와 VOO가 있는데 VOO가 수수료는 더 적습니다. 근데 SPY역사가 오래되어 자금이 훨씬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Tiger, kodex s&p 500은 추종하는 지수가 동일하고 운용사가 다르며, 유지보수비 및 수수료가 일부 차이가 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수수료 차이가 있고 어차피 같은 S&P500을 추종하는 ETF이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습니다

    • 다만 둘 중 거래량이 더 많은 ETF를 매매하는 것이 조금 더 유리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S&P ETF를 추종하는 TIGER와 KODEX 상품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발행사가 TIGER는 미래에셋이, KODEX는 삼성자산운용이 하고 있으며

    기초지수는 TIGER는 S&P 500을, KODEX는 S&P 500 Total Return 을 추종합니다.

    이 외에도 총 보수가 TIGER쪽이 좀 더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TIGER vs KODEX S&P 500 ETF 비교입니다.

    1. 운용 방식

    - TIGER: 거치식 (총 수익률 추종)

    - KODEX: TR (총 수익률 + 분배금 재투자)

    2. 장점

    - TIGER: 추종 오차 적음, 분배금 없이 장기 투자에 유리

    - KODEX: 분배금 통해 현금 흐름 제공, 단기 투자 또는 소득 목적에 유리

    3. 단점

    - TIGER: 분배금 없어 단기 수익률 낮음

    - KODEX: 추종 오차 발생 가능성, 분배금 세금 부담


    투자 목적과 기간에 따라 선택이 필요하며, 장기 투자는 TIGER가, 단기 또는 소득으로는 KODEX가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