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기운찬사마귀15
기운찬사마귀1523.02.16

예상치보다 안좋게 나온 지표발생에도 나스닥 상승이 나오는데요

안녕하세요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는 지표에도 나스닥이

하락하지 않고 상승

하면서 오늘 뉴스에서는 월가에서 노랜딩 이야기가 나온다고 하는데 노랜딩이라는

표현이 정확이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노랜딩이라는 것은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큰 충격없이 인플레이션을 끝내 수 있다는 낙관론인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제학자 사이에서 노 랜딩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고용, 물가와 같은 지표만을 본다면 노랜딩의 시나리오가 맞아떨어질 수 있을 것 같으나 현재 미국이 누리는 실업률 최저치는 제생각에는 지난 해 11월까지 이어졌던 미국 달러의 강세에 힘입어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데 증권가들의 희망론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노 랜딩 = 경기 사이클(상승이나 하락 등), 경기 순환의 국면 자체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 노 랜딩이 결국 미래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하여 주가 상승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노 랜딩

    말 그대로 번역하면 "무 착륙". 미국 경제가 큰 충격 없이 인플레이션을 끌어내리는 '연착륙'을 할지, 아니면 경제를 침체로 빠뜨리는 '경착륙'을 할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는 가운데, 아예 경제 침체 자체가 없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나온 표현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제학자 사이에서 노 랜딩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2023년 2월 12일 보도했다. 그동안에는 짧고 약하게 침체를 겪고 지나가는 것 정도가 최선의 시나리오였다. 하지만 성장세가 계속 이어지면서 침체 자체가 없을 것이라는 낙관론이 등장했다.

    노 랜딩은 최근까지도 기대하기 힘든 시나리오였다. 하지만 고용, 물가 등 미국 경제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최근 전문가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횟수가 부쩍 늘었다.

    노 랜딩 가능성이 부상한 가장 큰 이유는 미국 노동시장 상황이다. 2023년 2월난 3일 공개된 미국의 1월 실업률은 3.4%로 1969년 5월 이후 54년 만의 최저치였다. 1월 증가한 비농업 일자리 수는 시장 추정치의 3배인 51만7000개였다. 기술기업을 중심으로 한 해고가 이어지는 와중에도 미국의 일자리는 여전히 충분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차지하는 소비가 견조한 점도 노 랜딩 기대에 불을 지폈다. 마스터카드에 따르면 2023년 1월 미국의 소매판매(자동차 제외)는 2022년 같은 달보다 8.8% 늘었다. 상품 지출은 둔화했지만 서비스 지출이 크게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