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계절특성에 대해 문의
우리나라는 왜 여름에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습도가 낮을까요? 삼면이 바다인것은 동일해서 수분의 노출정도는 동일한데 계절별 습도 차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계절별 기압의 차이로 발생됩니다.
겨울철 춥고건조한 북동쪽 시베리아고기압이 아래로내려오고 여름철에는 덥고다습한 남서쪽 태평양고기압이 올라와 비도 많이오고 습한기후가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이 되면 북반구에는 더 많은 태양에너지를 받는데,
이로인해 북태평양에서 고온다습한 공기의 기단이 커집니다.
이렇게 커진 기단이 한반도까지 밀고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단순히 삼면이 바다인 걸로 계절이 결정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위치상 봄과 가을은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고,
여름은 북태평양 고기압(고온 다습)의 영향을 받으며,
겨울에는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계절적 특징이 나타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엔 고온으로 인해 물이 많이 증발을 하여 습한 날씨가 이어지며, 겨울엔 저온으로 인해 물이 증발을 하지 않아 건조한 날씨가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