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살 아기 사달라는 장난감 그냥 사줘도 될까요?
4살 아기 사달라는 장난감 그냥 사줘도 될까요? 잠을 재우는데 며칠 전에도 어제도 친구가 가지고 있는 장난감을 사달라 하네요. 금액은 작지만 사주기 시작하면 다른 것도 다 사달라고 할까봐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친사회적 행동을 했을 때(칭찬받을 행동)
칭찬스티커를 하나씩 붙여주세요.
무작정 사주기보다는
아이와 약속을 해서 10개, 20개...를 모으면
아이가 원하는 물건을 사준다고 약속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 하시느라고 수고가 많으십니다.
4살아기들은 장난감을 많이 좋아하고 새로운 것울 보면 또 가지고 싶어합니다.
장난감을 어느정도는 사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장난감을 계속 사주면 나중에는 떼를 쓸 수도 있어서 아이가 사고 싶은 장난감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살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장난감 사는 날 약속하기 를 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일 년 중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을 공식적으로 받을 수 있는 날을 정해주세요 설날이나 추석 등 명절 때 어른들이 사주시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그 외에 엄마와 장난감 사는 날을 약속하여 장난감이 필요하거나 너무 사고 싶은 날에는 약속을 한 날에 사는 것으로 이야기를 나누어 주신다면 아이가 아무때나 사려고 하지 않고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를 들어 약국에서 장난감을 사고 싶다고 이야기한다면 오늘은 장난감을 사기로 약속하지 않았으니 다음에 약속을 하고 와서 약속한 날에 사도록 하자 하는 방법입니다.
아이들은 장난감에 쉽게 흥미를 보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흥미가 쉽게 떨어지기도 합니다.
평소 가지고 놀았던 장난감과 흥미가 떨어진 장난감을 분리하셔서 흥미가 떨어진 장난감은 잠시 정리해두시고
시간이 지난 후 꺼내주신다면 아이는 또 흥미를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해보셔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모든 부모는 아이가 부족함 없이 자라길 바라며 좋은 장난감을 사주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무조건 장난감을 사주기 시작하면 경제관념을 익힐 수 없고 참을성,절제 능력이 떨어집니다. 무조건 원하는 물건을 사주기 보다 아이와 실컷 놀며 정서적인 안정감, 부모와의 관계에서 오는 즐거움을 알려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아이는 오히려 물건이 부족할 때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것이 무언지, 무엇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지 깨닫게 됩니다. 아이들은 상상력과 창의력이 넘치는 존재 입니다. 한가지 장난감으로도 수십 가지 놀이를 만드는 능력을 지녔습니다. 하지만 장난감이나, 책, 옷 등 자신의 물건이 너무 많을 때 새로운 물건의 신기함에 몰두한 나머지 오히려 집중하는 기회를 놓치고 맙니다. 단 지나친 결핍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하세요 부모는 풍요와 결핍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는 중심축 역할을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친구의 물건을 시샘하거나 부러워하는 경우에 혹시 집에 비슷한 장난감이 있거나 대체할 물건이 있는지 따져보고 물건의 소중함을 알도록 교육 후 사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다 해주고 싶은것이 부모마음이지만 항상 계획적인 소비팬턴을 보이며 물건을 사는 것이 아이 교육상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를 부린다면 그 즉시 떼를 부리는 것은 아니야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시거나 눈빛으로 말을 해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왜 장난감을 사달라고 하면 안되는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을 해주세요.
친구가 갖고 있는 물건을 다 가질 수 없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주셔야 합니다.
아직은 아이가 자신의 하는 행동이 틀리다 라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자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장난감을 사달라고 해서 다 사준다면
계쏙하여 그럴 가능성이 높아요
아이가 말을 잘 듣거나 아니면 착한 행동을 하거나
그러면 사주는 것으로 약속을 하시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됩니다.
모든 장난감을 다 사달라면 아이가 버릇도 나빠지고
원하는 바가 계속 늘어날 수 있어 제한을 두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능하면
안되는것을 정해주는것이 좋습니다.
모든것을 사주기 보다는 어느정도의 기준을 정해주면서 물건을 구매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든 걸 다 사주면 아이가 당연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사기전에 약속이 필요합니다. 다음에 또 다른 거 사달라고 하지 않기등이요.
아이들은 순수하고 순진해서 부모님의 이런 배려를 당연하다고 느껴서 지속적으로 위와 같은 상황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