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금의 경우 왜 물렁거리게 되나요 ? 사금도 순금의 종류인지요 ?
안녕하세요, 순금의 경우 다른 합금에 비해서 물렁거려서 치아수복재료같은걸로도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데여
왜 금의 순도가 높으면 합금에 비해 물렁거리나여 ?? 그리고 뭐 물이랑 흙밭에서 채에 걸러서 캐는 사금의 경우도
순금인건가요 ? 이건 녹여서 가공하나요 ?
안녕하세요.
순금은 귀금속 중 하나로 독특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순도가 높아지면 물러지는 특성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재료적인 관점에서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결정구조적인 측면에서 금은 FCC 구조를 가집니다. 이는 최밀충진된 원자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면에서는 잘 미끄러지는 슬립면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금의 경우 금속 결합이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그러나 다른 불순물, 구리 또는 은 등이 섞이면 금속 같의 결합력이 강화되고 경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순금에 비해 18k, 14k가 더 단단하고 내구성이 좋습니다. 사금의 경우는 보통은 다른 불순물이 섞여 있어, 이를 정제하여 순금으로 제작합니다.
감사합니다.
금의 순도가 높을수록 물렁거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순금은 다른 금속과의 합금이 적어서 부드럽고 물렁거립니다. 치과 수복재료와 같이 강도가 필요한 용도에는 순금보다는 합금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사금은 금 광석을 캐서 녹여서 금속을 추출한 것을 말합니다사금은 일반적으로 금의 순도가 90% 이상일 때 순금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순금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녹여서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순금은 금 원자 간 결합이 강하지 않아 금속 결합이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순금은 다른 금속에 비해 연성이 크고 물렁거리게 됩니다. 한편, 사금은 자연 상태에서 채취되는 금을 의미하며, 순도가 높은 편이지만 불순물이 섞여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금은 순금의 한 종류로 볼 수 있지만 정제 과정을 거쳐야 진정한 순금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