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비둘기
비둘기23.02.22

여성과 다르게 남성은 목젖이 튀어나온 이유는 무엇인가요?

남성과 여성은 생리학적 신체적으로 많은 부분이 다른데요 똑같이 목을 통해서 목소리를 내는데

여성과달리 남성은 목젖이 튀어나와있는데 남성만 유독 목젖이 튀어나온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래 내용을 정리해드리자면,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에 의해 목의 갑사연골이 여자에 비해 남자는 발달하게 되어 목젖이 만들어지며

    이 차이로 남자의 목소리가 중저음이 된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남성의 전유물로 통하는 목젖. 몇면 여성은 남성의 목젖만 보고도 매력을 느낄 정도로 목젖은 남성성을 상징하는 신체 부위이다. 여성은 왜 목젖이 없는걸까?

    목젖의 정식 명칭은 ‘갑상연골’로, 갑상선의 가장 바깥 부분의 물렁뼈를 말한다. 사실 갑상연골은 남녀가 모두 갖고 있다. 유년기까지는 남녀의 갑상연골의 크기가 비슷하지만, 남성은 사춘기가 되면서 테스토스테론 호르몬 증가와 함께 목소리가 바뀌고 후두가 커지면서 갑상연골 또한 튀어나온다. 그 덕에 남자들은 깊은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이다.

    갑상연골 자체는 갑상선을 둘러쌀 뿐 특정한 기능을 하지 않는다. 갑상선은 인체의 대사를 돕는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으로, 대개 여성의 목에서 만져지거나 눈에 띠지 않기 때문에 튀어나오지 않아야 정상이다. 하지만 여자인 경우에도 목젖이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대부분 테스토스테론의 과다분비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갑상선에 이상이 있거나, 이상이 없어도 다른 사람들보다 목이 길거나 마른 여성에서는 갑상선이 튀어나와 보일 수 있는 것이다.

    갑상선에 이상이 생긴 경우 중 하나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인데, 방사성 요오드 치료나 수술 후에 갑상선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갑상선이 커지지 않는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꼽히는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면역계통에 이상이 생겨 갑상선에 염증이 생기는 자가면역성 질환이다.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생기면 갑상선이 전체적으로 커져 목 앞부분이 튀어나오기도 하고 누르면 통증도 느껴진다. 갑상선 결절이 있을 때에도 주위사람들에게 목이 약간 튀어나와 보인다. 하지만 단순히 마른 몸이어서 목젖이 튀어나와 보이는 것이라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목젖은 감상연골입니다. 남녀가 모두 있지만 남성은 남성호르몬이 증가하면서 후두가 커져서 목졎이 더 튀어나올 뿐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목젖의 정식 명칭은 갑상 연골이고, 유년기에는 남녀 모두가 갖고있다가 사춘기에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에 의해 남성만 후두의 크기가 증가하며 갑상연골이 밀려나 바깥으로 튀어나오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목젖의 정식명칭은 갑상연골 이라 합니다.

    남성은 사춘기가 되면서 테스토스테론 호르몬 증가와 함께 목소리가 바뀌고 후두가 커지면서 갑상연골이 튀어 나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재 과학전문가입니다.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차이 때문입니다. 어릴 때는 남녀모두 목젖이 없다가 사춘기를 지나면서 유독 남성에게서 목젖이 튀어나오게 되는데, 이 때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됩니다. 남성에게서 테스토스테론이 더 많이 분비되기 때문에, 더 큰 후두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더 깊은 목소리를 내게 되는 것이죠. 한편, 몇몇 여성들도 목젖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있습니다. 즉, 호르몬(테스토스테론) 때문임.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참고

    https://www.verywellhealth.com/what-is-an-adam-s-apple-biology-and-reduction-5088576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남성의 목젖은 흔히 "아담의 사과"라고도 불리며, 목의 앞쪽 중앙에 위치한 개체적인 윤곽입니다.

    목젖은 성숙한 남성의 성징 중 하나이며, 발성기(성숙한 소리)가 끝나면서 성장하면서 생긴 것으로, 성기능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목젖은 성호르몬의 영향으로 발생하며, 성장과 함께 크기가 커질 수 있습니다. 목젖의 크기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가족 유전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목젖 부위의 아담스 애플(Adam's apple)이라는 부분 때문입니다. 남성의 목에 있는 아담스 애플은 개인에 따라 크기와 높이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성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호르몬의 영향 때문입니다.

    아담스 애플은 후두(喉頭, larynx)의 모양과 크기에 영향을 주는 갑상선연골(thyroid cartilage)의 돌출 부분입니다. 이 갑상선연골은 성장 과정에서 수축하면서 목의 크기와 함께 아담스 애플의 크기와 높이도 변합니다. 따라서, 남성의 목에 있는 아담스 애플은 남성의 성장 및 성숙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입니다.

    여성에게도 후두와 갑상선연골이 있지만, 남성보다는 작고 부드러워서 아담스 애플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담스 애플은 인간의 음성생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명실에 인접하여 있어 공명이 강한 소리를 내거나 음역이 높은 음을 발성할 때 아담스 애플이 함께 작용하여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목젖은 갑상연골이라고 합니다. 물렁뼈라고 보시면 됩니다. (남자여자 모두 보유)

    그런데 남성의 경우 사춘기가 되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증가하면서 후두가 커지며 갑상연골, 즉 목젖 역시 튀어나오게 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목젖은 목의 갑상샘 연골이 눈에 띄게 튀어나온 것인데요. 돌출도의 차이는 성대를 감싸고 보호하는 갑상선 연골이 일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는 주된 이유는 호르몬 때문입니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사춘기에 후두와 갑상선 연골의 성장을 촉진하는 반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같은 효과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