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의 부채상황은 어떤 상황인가요?
예전에 롯데케미칼이 지속적인 영업부진에 시달린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현재 기준으로 롯데케미칼의 부채비율과 bps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롯데케미칼의 2024년 4분기 부채비율은 72.87%이고, BPS는 340,367원이었습니다. 2025년 1분기도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롯데케미칼의 부채 상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롯데케미칼은 어느 정도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는 상황입니다.
바로 인도네시아에서 진행되는
대형 프로젝트가 마무리 되면서
자산 매각으로 통해서 현금 1조 6,000억원 정도가 확보되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롯데케미칼의 부채 비율은 2020년 대비 48% 에서 약 75%로 상승 하였으며, BPS는
약 35만원 대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자산 매각과 투자 축소 등을 통해 부채를 줄이고 재무 건전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지속 하고 있으나
자산 대비 부채 증가로 인해서 BPS의 하락을 피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부채비율은 약 73%입니다. 다른 2021년 48%, 2022년 55%, 2023년 65%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설비 투자 및 차입금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총 부채는 약 14조 5640억 원입니다. 롯데케미칼의 부채비율은 과거에 비해 상승한 것은 맞습니다. 이는 대규모 설비 투자와 영업 부진으로 인한 차입금 증가 등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심각한 수준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BPS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주주가 소유한 주식 1주당 순자산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냅니다. 롯데케미칼의 BPS는 34만 원대로, 현재 주가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이는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해석될 수도 있지만, 미래의 수익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반영될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롯데 그룹 자체의 자금의 융통에 대한 걱정이나 문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며 캐쉬카우가 아닌 기업의 자산을 팔려고 하는 중인거 같습니다. 다만 여기서 롯데케미칼의 부채상황은 작년 기준으로 부채가 100%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부채가 높은 수준으로 부채에 대한 의존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채는 석유화학의 부진으로 타기업인 GS나 관련계통에서도 유사한 상황을 볻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업들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부채를 줄이고 재무건정성을 높이는 것이 방법이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