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4

무역 거래시 사용되는 결제방식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수출입 무역 거래 시에 인수인도지불방식과 지불인도방식을 자주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이 두 방식보다 b/L 과 tt 지불 방식을 많이 사용하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홍유영 관세사blue-check
    홍유영 관세사23.02.14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추심결제방식인 인수인도조건(D/A; Document against Acceptance),지급인도조건(D/P; Document against Payment)과 T/T 나 B/L ( 신용장 방식을 말하시는 것으로 생각되니다 ) 의 결제 비중비교해보면 22년 전체 수입액 중 70% 를 T/T 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아래 세부 통계치를 첨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수출입거래에서 대금결제 수단은 송금(remittance)결제방식, 추심(collection)결제방식 및 신용장(Letter of Credit, L/C) 결제방식으로 크게 나누어집니다.

    말씀하신 어음지급서류인도조건(D/P)와 어음인수서류인도조건(D/A)은 실무상에 잘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추심 결제 방식보다는 오히려 안전한 신용장 거래를 많이 이용합니다. 다만, 점차 교역량이 증가되고 수출거래선이 다변화됨에 따라 대금결제형태 또한 다양화되면서 D/P 또는 D/A 방식의 이용도 증가하고 있기는 합니다.

    다만 압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금 결제 방식은 송금결제방식으로 T/T가 되겠습니다. 우리나라 무역업체에서 송금 방식으로 대금 결제하는 비중이 전체 거래의 6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신용장방식, 추심결제방식 순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b/L이라는 것은 처음 들어보는 결제 방식인 것 같습니다. B/L은 선하증권인데 아마도 신용장 결제 조건 중 B/L date 기준 지급 방식을 의미한다는 것으로 유추되며 신용장 방식은 T/T 다음으로 활용되는 방식입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최근에는 송금수수료 등을 최대한 아끼기 위하여 T/T방식으로 간편하게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초도거래나 신용도가 낮은 회사의 경우에는 말씀하신대로 인수인도지불방식이나 지급인도지불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더한경우에는 L/C를 통하여 거래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만약에 거래업체가 충분히 신용이 쌓이셨다고 판단되면 T/T로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만, 무역의 경우 관습적인 성향이 강하다보니 현재 방식을 유지하는데 크게 불편함이 없으시다면 현재 방식을 유지하는 것도 좋다고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제방식은 T/T(전신환 송금) 방식이라고 합니다.

    말씀주신 사항 중 B/L의 경우 선하증권으로 결제방식이라기보다는 운송서류의 한 종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수출입거래에서 대금결제 수단은 송금(remittance)결제방식, 추심(collection)결제방식 및 신용장(Letter of Credit, L/C) 결제방식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송금결제방식은 사전송금과 사후송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추심결제방식으로는 D/P와 D/A 거래방식이 있고, 신용장결제방식도 일람출급(at sight) 방식과 기한부(usance) 방식이 있다. 우리나라 무역업체에서 활용하고 있는 대금결제방식은 송금방식이 전체 거래의 6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신용장방식, 추심결제방식 순으로 이용되고 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수출입거래에서 대금결제 수단으로 크게 송금(remittance)결제방식, 추심(collection)결제방식, 신용장(Letter of Credit, L/C) 결제방식으로 나누어집니다.

    송금결제방식(TT 등)은 사전송금과 사후송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추심결제방식으로는 D/P와 D/A 거래방식이 있고, 신용장결제방식도 일람출급 방식과 기한부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우리나라 무역업체에서 활용하고 있는 대금결제방식은 송금결제방식이 전체 거래의 6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신용장방식, 추심결제방식 순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