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한약 이미지
한약약·영양제
한약 이미지
한약약·영양제
뽀로로
뽀로로23.09.26

체질별로 복용해서 안되는 한약재들이 있나요?

나이
3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진료를 보고 증상에 따라 한약을 처방해주시는데, 체질에 따라 같은 증상이어도 조제되는 한약이 달라지거나 체질에 따라 복용해서 안되는 한약재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체질별 대표적으로 안좋은 한약재들은 각각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주영 한의사입니다.


    소음인은 외부로 부터 받은 찬 기운을 내보내거나 비장 및 신장의 양기를 올려주는 따뜻한 성질의 약재가 많습니다.

    소양인은 체내의 불필요한 열을 소변이나 대변으로 배출 시켜 음액의 손상을 막아주는 찬 성질의 약재가 많습니다.

    태음인은 한습한 기운을 발산시켜 온기를 아래로 잘 순환시키고 폐부위가 마르는 증상을 없애주는, 울체된 열기를 땀으로 발산시키고 습기를 대소변으로 제거하는 약재를 많이 씁니다.

    태양인은 근골격계를 튼튼하게 하고 하체가 마르는 증상을 치료하며 구역, 반위 등을 치료하는 약재를 씁니다.

    네가지 체질 모두 장부에 따른 귀경은 각 약물의 주증에 따라 고르게 분포 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체질에 따른 한약재 구분입니다. 참고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소음인

    감초, 건강, 계지, 고량강, 곽향, 당귀, 대복피, 대산, 대조, 목향, 반하, 백두구, 백작약, 백출, 봉밀, 부자, 사인, 산사, 생강, 소엽, 소회향, 앵속각, 오령지, 오수유, 육계, 익모초, 익지인, 인삼, 적석지, 지실, 진피, 창출, 천궁, 청피, 총백, 파고지, 파두, 하수오, 향부자, 황기, 후박(이상 41종)


    소양인

    감수, 강활, 경분, 고삼, 과루인, 구기자, 금은화, 독활, 목단피, 목통, 몰약, 박하, 방풍, 복령, 복분자, 산수유, 생지황, 석고, 숙지황, 시호, 연교, 우방자, 유향, 인동등, 저령, 전호, 주사, 지골피, 지모, 차전자, 치자, 택사, 현삼, 형개, 활석, 황련, 황백(이상 37종)


    태음인

    갈근, 감국, 건율, 고본, 과체, 관동화, 길경, 나부자, 녹용, 대두황권, 대황, 마황, 맥문동, 백과, 백렴, 백자인, 백지, 부평, 사군자, 사향, 산약, 산조인, 상백피, 서각, 석창포, 승마, 연자육, 영양각, 오매, 오미자, 용뇌, 연자육, 우황, 웅담, 원지, 의이인, 저근백피, 제조, 조각자, 맥문동, 포황, 행인, 황금(이상 43종)


    태양인

    교맥, 노근, 모과, 미후도, 미후등, 송엽, 송화, 앵도육, 오가피, 저두강, 청송절, 포도근, 蚌蛤, 螃蛤, 蓴, 鯽魚(이상 16종)


  • 안녕하세요. 민병용 한의사입니다.

    자세한 약재 언급은 하지 않겠읍니다.

    사상체질을 하시는 분들은 맞는 한약 아닌 한약으로 구분을 하더군요.

    그러나 저는 사상체질로 진료를 보고 있지 않아서 이런 건 별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환자분이 보이는 증상과 진찰을 통하여 처방을 선택하고 약재를 가감하여 사용할 뿐입니다.

    지금까지 이렇게 진료를 보아도 효과가 더딘 경우는 있어지만 안좋은 부작용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다른 답변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한약재는 체질과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부작용의 우려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약을 처방할 때에는 개인의 생리적 및 병리적 특성에 따라 한약재를 가감하기 때문에 특정한 체질에 특정한 한약재를 무조건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