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보랏빛물소4
보랏빛물소421.03.26

결핵에 걸렸다면 옆사람에게 전염되나요?

전국민의 1/3명이 결핵 보균자라는 기사를 봤습니다

그렇다면 가족 중 한두명은 가지고 있을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어떨 때 증상이 나타나나요?

그리고 증상이 발현되면 전염성이 강한가요?

보균상태에서는 전염이 되지 않나요?

면역력이 강한사람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결핵균은 전염이 될수있습니다. 그러나 치료후2주정도 후에는 전염력이거의 없어지며.결핵균에 감염되있어도 면역력에 억제되어 증상이나타나지 않는 잠복결핵의 경우에는 전염이 안됩니다.다만 잠복결핵 환자의10프로 정도는 면역이저하되면 활동성결핵으로 진행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균 상태이면 전파력이 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결핵이 감염되더라도 감기처럼 증상이 나타났다가 사라집니다. 즉 건강한 사람은 결핵을 앓게 되더라도 일반 감기처럼 지나가면 큰 이상이 없습니다. 다만 면역이 약하거나 고령자층에서 결핵에 감염되면 면역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밤에 식은땀이 흐르거나 고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병원 방문 후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부분 약물치료를 병행하게되는데 약효가 매우 강하기 때문에 오랜기간 동안 치료하는데에 있어 힘듭니다. 하지만 회복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리나라는 결핵이 흔한 나라이기는 합니다. 다만 많은 경우에 감염을 시킬 수 있는 활동성 결핵이라기 보다는 전염되지 않는 잠복결핵일 가능성이 높지요. 결핵 보균자라는 의미가 잠복결핵이라는 뜻입니다. 잠복 결핵은 면역이 떨어지게 되면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할 수가 있는데 활동성 결핵이 된 상태에서야 다른 사람에게 전염을 시킬 수 있답니다. 잠복 결핵에서는 증상이 전혀 없기에 전염도 안 되지요. 결핵은 전염력이 아주 높은 질환은 아닙니다. 폐결핵 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한 경우에도 잠복 결핵이 생길 가능성이 대략 20% 정도 됩니다. 잠복 결핵이 있다고 해도 폐결핵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대략 10% 정도 되구요. 어쨌거나 너무 염려하지 마시고 기침을 2주 이상 하는 경우에만 흉부 영상 검사를 해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