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힘진최
힘진최24.02.17

최근 제가 고혈압 진단을 받았는데, 앞으로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요? 필요한 약물치료와 생활수칙 등 조언 부탁드립니다.

나이
2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최근 정기검진에서 고혈압 진단을 받았습니다. 약물치료는 아직 복용중이지 않은데 향후 적절한 혈압수치 유지를 위해 필요한 약물치료에 대해 상담이 필요합니다. 또한 고혈압 관리를 위한 식이요법, 운동요법도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해 비약물적 요법과 약물적 요법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고혈압 전 단계에서는 체중 조절, 식이 요법, 생활습관 개선, 정기적인 운동 등의 비약물적 요법을 우선적으로 시도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그러나 고혈압이 진단되면 약물을 통해 혈압을 정상 수준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흡연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소이므로, 금연이 권장됩니다.

    고혈압 환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식사의 역할에 대한 논란이 아직 남아있습니다. 그러나 식이 요법은 고혈압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체중 조절, 염분 섭취 제한, 알코올 소비 제한 등의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특히 체중 감량은 중요합니다. 과체중이나 비만 환자는 저열량식을 통해 체중을 감량해야 합니다. 이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고 약물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섭취 열량을 제한할 경우 단백질 섭취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신장 기능을 유지하면서 체중 kg당 1~1.5g의 양질의 단백질을 섭취해야 합니다.

    과도한 알코올 소비는 고혈압 및 뇌졸중의 중요한 위험 요소이며, 약물 치료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또한, 칼슘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섬유소와 불포화 지방산의 섭취 비율을 높이고, 카페인을 적절히 제한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약은 그냥 드시면 됩니다

    하지만 나이가 젊으시기 때문에 일단 2차성 고혈압에 대한 검사를 하셔야 합니다. 그러니까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고혈압이 동반되었는지를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이후 생활습관의 경우 체중람량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정상체중이면 운동을 하시는 것도 혈압조절에 좋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